• 맑음동두천 9.9℃
  • 맑음강릉 12.9℃
  • 맑음서울 11.7℃
  • 맑음대전 10.5℃
  • 맑음대구 11.8℃
  • 맑음울산 11.4℃
  • 맑음광주 11.8℃
  • 맑음부산 12.0℃
  • 맑음고창 10.1℃
  • 맑음제주 12.6℃
  • 구름조금강화 6.5℃
  • 맑음보은 8.8℃
  • 맑음금산 8.6℃
  • 맑음강진군 9.5℃
  • 맑음경주시 9.4℃
  • 맑음거제 11.2℃
기상청 제공

사회

음란문자 발신 핸드폰, 이근삼 의원이 여성과 연락하는 데 사용

검찰, 여종업원과 500여 차례 주고받은 통화기록 내보이며 추궁


평소 알고 지내던 여성에게 음란문자를 보내 성폭력 처벌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로 불구속 기소돼 재판에 넘겨진 이근삼(57) 파주시의원에 대한 3차 공판이 12일 오후 의정부지법 고양지원 401호 법정에서 열렸다.

 고양지원 형사 제1단독 손동환 부장판사 심리로 열린 이날 재판에서 검찰은 이근삼 의원을 성폭력 혐의로 경찰에 고소한 여성 피해자 전 아무개 씨와 이 의원에게 핸드폰을 빌려준 음식점 여직원 김 아무개 씨를 상대로 증인 심문했다.

 검찰은 “이근삼 피고인이 자신의 아내가 운영하는 복요리 식당에서 12년간 일하고 있는 여종업원에게 중국집 배달용 전화로 사용하겠다며 핸드폰을 빌려간 뒤 이 전화로 여종업원과 수백 회 통화를 하는 등 직접 관리한 사실이 있다.”라며 통화기록을 제시했다.

 이 통화기록에 따르면 이근삼 의원이 그동안 여종업원 김 아무개 씨에게 324회 발신을 했고, 김 씨 또한 이 의원에게 163회 연락을 취하는 등 문제의 핸드폰을 배달용이 아닌 사적 용도로 사용했다고 검찰은 밝혔다.

 이근삼 의원은 그동안 “여종업원에게 빌린 핸드폰을 내가 운영하는 중국식당 배달용으로 사용했는데 누군가가 나를 음해하기 위해 가게에 몰래 들어와 음란문자를 보냈다.”라며 의혹을 제기해왔다.

 검찰은 또 피해자 전 아무개 씨가 경찰 1차 조사에서 ‘이근삼 의원이 음란문자는 내가 보낸 것은 아니지만 핸드폰 소유자로서 책임을 지고 사과한다.’라고 말했다가 2차 조사 때는 ‘사실은 이근삼 의원 자신이 문자를 보낸 것이라며 사과했다.”라고 한, 전 씨의 진술이 담긴 경찰수사보고서를 근거로 제시했다.

 손동환 재판장은 “증인 전 씨의 진술이 너무 오락가락하고 있다. 피고인과 사건 이후 단 한차례 통화를 한 것밖에 없다고 하다가 검찰이 30여 차례의 통화기록을 제시하니까 잘 기억이 안 난다고 하고, 경찰관이 작성한 수사보고서가 허위로 작성된 것이라는 주장을 하는가 하면, 피고인을 위해 준비해 온 말만 되풀이하는 등 신뢰하기가 어렵다.”라고 질책했다.

 검찰은 “전 아무개 씨와 이근삼 의원의 통화기록을 보면 보통 새벽 한두 시에 연락을 했는데 이성적 관계가 있는가?” 라고 묻고, 여종업원 김 아무개 씨에 대해서도 “수백여 차례 전화를 주고받은 것을 볼 때 이성 관계 의심을 받을 수 있는데 어떤 사이인가?”라고 물었다.

다음 재판은 5월 31일 오후 2시 같은 법정에서 열린다.

 

관련기사


오늘의영상





“김경일 시장님의 용기와 도덕적 리더십 덕분에...” “김경일 파주시장님께서 취임 이후 누구도 쉽게 하지 못했던 성매매집결지 폐쇄를 과감히 추진하였고, 시장님의 용기와 도덕적 리더십 덕분에 파주는 정의롭고 건강한 도시로 나아가고 있습니다.” 지난 14일 자신을 문산이 고향인 파주시민 김미숙이라고 소개한 여성이 파주에서 개최된 ‘타운 홀 미팅’에서 이재명 대통령에게 한 말이다. 이 여성은 “우리는 국가의 아픔을 함께 짊어지며 인내하고 살아왔다. 지난 70년 동안 시민의 의지와는 무관하게 또 하나의 고통이 이어져 왔다. 바로 미군 주둔과 함께 생겨난 용주골 성매매집결지이다.”라며 성매매집결지에 경찰이 상주할 수 있도록 지원해달라고 요청했다. 김경일 파주시장도 대통령에게 업소 70곳을 200곳으로 부풀려 보고하며 경찰 지원 필요성을 주장했다. 파주시민 김미숙 씨는 누구도 하지 못한 집결지 폐쇄를 추진했다며 김경일 시장의 용기와 도덕적 리더십을 언급했다. 그렇다면 역대 시장 군수들은 왜 대추벌 성매매집결지 폐쇄를 추진하지 못했을까? 김경일 시장처럼 용기와 도덕적 리더십이 부족했던 것일까? 1988년과 1995년 자치단체장을 역임한 파주 토박이 고 송달용 시장은 생전 인터뷰에서 ‘용주골과 대추벌의 성산업 카르텔이 파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