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4.0℃
  • 맑음강릉 0.7℃
  • 맑음서울 -1.9℃
  • 맑음대전 -0.3℃
  • 맑음대구 2.1℃
  • 맑음울산 2.3℃
  • 흐림광주 4.9℃
  • 맑음부산 3.1℃
  • 흐림고창 3.7℃
  • 제주 10.2℃
  • 맑음강화 -3.2℃
  • 구름많음보은 -0.6℃
  • 흐림금산 0.3℃
  • 흐림강진군 7.0℃
  • 구름조금경주시 1.8℃
  • 맑음거제 4.8℃
기상청 제공

사회

해외 입양 혼혈인 ‘엄마의 품’ 찾아 눈물

파주 출신 혼혈인 옛 기지촌 돌며 어머니 향수 느껴


한국전쟁과 함께 생긴 기지촌에서 태어나 해외로 입양된 아메라시안(아시아 여성과 미군 사이에서 태어난 혼혈인) 30여 명이 4일 파주시가 조리읍 봉일천리에 조성중인 ‘엄마의 품 동산’을 찾았다.
 
이들은 파주시 공무원으로부터 엄마의 품 동산을 만들게 된 취지와 추진 일정을 듣고 박수를 치거나 감사의 눈물을 흘리기도 했으며, 아버지가 사용했을 미군부대 건물 구석구석을 살펴보며 사진을 찍었다.
 
‘엄마의 품 동산’은 이재홍 파주시장이 2015년 미국 캘리포니아 버클리에서 열린 한국의 캠프타운 컨퍼런스에 공무원을 보내 한국전쟁의 아픔과 함께 해외로 입양된 혼혈인의 오래된 상처를 치유하고 모국의 정을 느낄 수 있도록 ‘엄마의 품’을 만들겠다는 영상 제안을 하면서 시작됐다. 현재 파주시는 8억 원을 들여 12월 말 완공 예정으로 미군 반환공여지인 조리읍 봉일천리 ‘캠프 하우즈’ 61만800㎡에 1천㎡ 규모로 ‘어머니의 품 동산’을 조성하고 있다. 

 파주 출신 혼혈입양인 심상호(미국명 로웰 로혼 · 62) 씨 등 4명은 7일 어머니의 흔적 찾기에 나섰다. 심 씨는 1955년 3월 파주시 법원읍 금곡리 7번지에서 태어났다. 어머니는 1930년 12월 21일생 ‘심형숙’으로 기억하고 있다.

 이날 심상호 씨는 어머니와 함께 생활했던 최칠성(83) 씨를 만났다. 최 씨가 심 씨의 어머니를 또렷하게 기억하는 것은 아니지만 50년대 당시의 고단한 기지촌 생활과 자식을 해외로 입양시켜야만 했던 아픔을 전해들을 수 있었다. 60여 년 만에 모국을 찾은 심 씨는 논밭으로 변해버린 기지촌에 서서 연신 뜨거운 눈물을 흘렸다.

 한편 1966년 3월 파주시 조리읍 오산리 140번지에서 태어난 안준석(미국명 스티브 워커 · 52) 씨와 1957년 7월 파주읍 파주리 470번지에서 태어난 이영순(미국명 다이애나 홀드 · 61 여) 씨, 그리고 이번 ‘모자이크 하파 투어(Mosaic Hapa Tour)’의 막내인 백수지(46 · 여) 씨 등은 파평면 장파리를 방문, 친엄마 찾기에 나섰으나 만남은 이뤄지지 않았다. 
                                                               이용남 선임기자

관련기사


오늘의영상





손배찬 전 파주시의회 의장 ‘흔들리지 않는 길’ 회고록 출간 손배찬 전 파주시의회 의장이 고향 파주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의 이야기를 담은 회고록 ‘흔들리지 않는 길’을 출간했다. 1962년 야당3리의 옛 지명인 ‘아홉 우물’에서 나고 자란 손배찬은 ‘아홉 우물’의 유래를 이렇게 전했다. “마을에 우물이 아홉 개가 있었죠. 그래서 ‘구우물’이라고 불렀어요. 실제 내가 중학교 다닐 때까지도 크고 작은 우물이 여러 곳에 있었는데 이 중에 가장 큰 ‘아범물’에서 동네 사람들이 빨래를 하곤 했어요. 그런데 어른들한테 전해 들었던 우물의 의미가 구름으로 비유돼 ‘구름우물’이라고도 했죠. 그 바람에 경의선 운정역이 구름 ‘운’에 우물 ‘정’으로 씌어졌다고 해요.” ‘아홉 우물’ 소년 손배찬은 서울로 유학을 가 동국대학원에서 행정학을 전공했다. 그리고 고향 파주에 뿌리를 내리고 파주시의회 의장과 파주시청소년재단 대표이사를 역임하는 등 파주 구석구석을 발로 뛰며 시민의 목소리를 들었다. 그가 신조로 삼아온 현장에서 답을 찾는 생활정치를 실현하려고 했다. 그는 회고록을 펴내게 된 동기를 “우리 사회는 내란이라는 위기를 민주주의로 이겨냈고, 국민이 주인인 나라임을 증명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말한 진짜 대한민국의 정신은 다름을 존중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