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사회

파주 미군위안부 19명 국가에 손해배상 청구 소송

현장사진연구소 조영애 사진가 기지촌 여성의 아픔 법정 증언


파주의 미군위안부 등 122명이 “한국 정부의 기지촌 정책은 ‘미군위안부 정책’이었다. 정부가 기지촌 내 미군위안부 제도의 피해자들에게 사죄하고 배상해야 한다.”라며 국가를 상대로 낸 1인당 1,000만 원의 손해배상 청구 소송이 30개월의 법정 다툼 끝에 오는 1월 20일 오후 2시 서울중앙지법 민사법정 동관 466호에서 선고될 예정이다.

문산읍 선유리 박묘연(78) 씨 등 19명은 “국가가 한국전쟁 이후 미군을 위한 기지촌을 만들어 사실상 운영하면서 ‘기지촌 정화대책’ 등을 통해 여성들을 관리하고 인권을 침해했으며, 포주와 결탁해 다양한 방법으로 기지촌 여성들에게 성매매를 권유하고 조장한만큼 국가는 국민을 보호하지 못한 책임을 져야 한다.”라고 말했다.

16살 때인 1966년 선유리에 온 박점순(68) 씨는 “우리는 자치단체로부터 미군에게 서비스를 잘 하라는 교육도 받고 강제로 성병검진도 받아야 했다. 군수, 경찰서장 등 공무원이 우리를 미군클럽에 모아 놓고 여러분은 달러벌이를 하는 애국자이다. 나중에 늙으면 노후대책으로 나라에서 아파트를 지어 잘 살게 해줄 것이니 걱정하지 말고 미군에게 서비스를 잘해 줄 것을 당부했다.”라고 말했다. 

미군위안부 삶을 사진과 영상으로 기록해온 현장사진연구소 조영애 사진가는 2016년 5월 13일 중앙지방법원 466호 민사대법정에서 열린 ‘기지촌 미군 위안부 국가배상청구소송 8차 재판’에 증인으로 나섰다.
조영애 사진가는 ‘직접 만난 미군위안부의 상황이 어떠했는가’라는 변호인의 심문에 “할머니들은 폐지를 주워 살아가는 등 대부분 생활보호대상자였다. 할머니들이 가장 힘들어하는 것은 경제적인 것도 있지만, 더 큰 문제는 양색시라는 사회적 냉대였다.
또 어떤 할머니는 ‘내가 기지촌이 어디에 있는지 알고 찾아갔겠나. 혹여 기지촌을 알고 있었다 해도 그런 곳을 가지 못하도록 나라가 막았어야지.’라는 말을 했다.”라고 증언했다.

재판부는 이날 현장사진연구소가 촬영한 30분 분량의 영상을 증거물로 채택하고, 조영애 사진가의 증언을 청취했다. 이 영상에는 국가가 조직적으로 기지촌 여성만 성병 검진하고 수용소를 관리해 인권을 침해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는 파주시보건소 임상병리사 강 아무개 씨와 1972년부터 성병관리소 검사원으로 근무한 이 아무개 씨의 생생한 증언이 있었다. 

실제 파주시 자치단체가 보건증이 없는 기지촌 여성 단속에 나섰다가 미군위안부 9명이 윤락행위 단속 호송버스에서 뛰어내려 3명이 그 자리에서 숨지고 6명이 중상을 입었던 일이 있었다. 

이 사건은 1980년 3월 27일 밤 9시 50분, 파주군 주내면(현재 파주읍) 파주1리 앞길에서 발생했다. 당시 파주군청 부녀계 경귀현(47) 계장과 부녀상담원 김선옥(28) 씨 등 직원 10여 명은 연풍리 용주골 미군클럽을 단속해 위안부 보건증이 없는 15명을 붙잡아 파주군보건소 마이크로버스(운전사 이용호)에 태웠다.
 
단속에 걸린 이들은 금촌의 윤락여성 직업보도소인 협성관리소로 호송되던 중 9명이 버스 창문을 열고 뛰어내렸다. 이 사고로 김경아(23, 파주군 천현면), 안일순(20, 전북 무주군), 서영애(20, 의정부) 씨 등 3명이 숨지고 연풍리 용주골 캉캉살롱 최명분(22) 씨 등 6명이 중상을 입고 금촌도립병원에 입원했다.
 
언론협동조합 파주바른신문은 파주에 4,000여 명의 기지촌 여성이 있었고, 현재도 문산 선유리, 파주읍 용주골, 조리읍 봉일천리 등 기지촌에서 어렵게 살아가고 있는 미군위안부들을 집중 취재해 정부의 기지촌 미군 위안부 제도의 역사적 사실과 피해를 명확하게 밝혀 법적 책임을 질 수 있도록 공론화할 계획이다.  
                                                            이용남 선임기자
 

관련기사


오늘의영상





[사진이야기] 연풍리 주민들의 호소… “공청회 실시하라” 파주읍 연풍리 노성규 이장 등 주민 30여 명이 22일 오전 대추벌 성매매집결지 입구에 모였다. 연풍지역활성화대책위 박동훈 위원장이 페인트와 붓을 주민들에게 나눠주었다. 플라스틱 의자에 오른 주민들이 길이 20미터, 높이 3미터 생철 담벼락에 미리 그려놓은 선을 따라 덧칠을 시작했다. 잠시 후 ‘주민 공청회를 열어 주민들의 목소리를 들어라!’라는 구호가 ‘연풍리 주민 일동’이라는 빨간색 글씨와 함께 드러났다. 주민들은 파주시가 대추벌 성매매집결지를 폐쇄한 후 이 자리에 여성인권센터, 시립요양원, 파크 골프장 등 공공시설을 짓겠다는 것에 반발하며 공청회를 요구하고 있다. 연풍리는 한국전쟁과 함께 미군 기지촌이 형성되면서 지역 전체가 사실상 군사시설보호법에 묶여 재산권 행사를 제대로 못 하는 등 지금까지 1960년대 경제적 상황을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그럼에도 파주시가 공공개발 성격의 시설들을 해당지역 주민에게 설명도 없이 몰아붙이듯 추진하는 것은 수용할 수 없다며 주민 의견을 수렴하는 공청회 개최를 요구하고 있다. 주민들은 오는 26일 대추벌 성매매집결지 전람회장에서 진행되는 ‘성교육을 말하다’와 9월 2일 행사에 김경일 시장이 방문할 것이라는 소식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