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선거

제19대 대통령선거 비용 3,110억 원 소요

투표용지 쌓으면 4,248m, 한 줄로 이으면 12,106km


제19대 대통령선거, 준비 기간은 60일로 짧았지만 선거에 투입된 예산과 인력, 후보자가 쏟아낸 선거공보와 벽보의 양은 엄청나다.

우리가 투표하지 않는다면, 포기해야 하는 가치는 얼마나 될까? 우리가 꼭 투표해야만 하는 이유를 숫자를 통해 알아본다.

먼저 제19대 대통령선거에 들어가는 비용은 선거관리 1,800억, 정당 선거보조금 421억, 후보자 보전비용 889억(예상)등 모두 3,110억 원 가량 소요된다.
 
이번 대통령선거를 치르는 데 쓰이는 예산은 3,110억 원에 달한다. 이 금액은 강원도 태백시의 한 해 살림살이와 비슷하다.
투.개표 등 선거관리 물품.시설.인력 예산이 1,800억 원, 정당에 지급한 선거보조금이 421억 원이다. 정당은 선거보조금을 인건비, 정책개발비, 선거관련 비용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지난 제17.18대 대선 때, 정당.후보자에게 보전한 평균 선거비용은 889억 원이다. 선거가 끝나면 득표율이 10% 이상인 정당.후보자에게 선거비용의 50%, 득표율이 15% 이상이면 전액을 보전한다.

선거비용은 후보자가 선거사무원 인건비, 연설.대담용 차량 등 선거운동을 위하여 지출한 비용으로 선관위에 청구하면, 확인을 거쳐 국가의 예산으로 되돌려 준다.
이는 선거경비를 후보자에게 부담시키지 않는 선거공영제로서 선거운동의 기회를 균등하게 보장하되 과열을 방지하고, 선거비용은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평균 투표율 70% - 포기하는 가치 930억

투표율 100%를 가정할 때, 유권자 한 표의 비용은 7,300원에 불과하다. 그러나 평균 투표율 70%를 가정하면, 투표하지 않는 30%의 선거인이 포기하는 가치는 930억 원이다.

1명의 대통령을 선출하는 데 필요한 인력 48만 명

공정한 대통령선거 관리를 위해 48만 명의 국민이 최선을 다하고 있다. 제주시 인구수와 비슷하다. 먼저 (사전)투표를 위해 투표관리관.사무원, 참관인이 필요하며, 개표를 위해서는 개표사무원.참관인, 경찰, 전기.소방.의료 분야에서 선거사무에 협조해 주는 인력도 있다. 또한 선거법 위반행위를 예방.단속하기 위해 선거운동 현장은 공정선거지원단이 지키고 있다.

투표용지와 선거공보·벽보에 사용된 종이, 30년 된 나무 8만 6천 그루

투표용지와 후보자가 제출한 선거공보와 벽보에 사용된 종이는 5천여 톤으로 30년 된 나무 8만 6천 그루가 베어진다. 베어진 나무의 가치를 생각하면, 후보자의 정책과 공약을 좀 더 꼼꼼히 확인하고 투표에 반드시 참여 해야한다.
 
투표용지를 쌓으면 4,248m, 한 줄로 이으면 12,106km

4200만 유권자의 투표용지를 전부 쌓으면, 한국에서 가장 높은 롯데월드타워의 8배가 된다. 한 줄로 이으면, 12,106km로 서울에서 뉴욕까지 갈 수 있고, 모스크바에서 블라디보스토크까지 운행하는 시베리아 횡단열차 노선보다도 길다.

후보자의 선거벽보, 잠실 야구장의 50배, 선거공보, 4억 부

8만 7,607곳에 첩부한 선거벽보를 한데 모으면, 잠실 야구장 면적의 50배에 이른다.각 세대로 보내진 후보자 14명의 책자형 선거공보는 3억 6백만 부로, 시각장애 유권자에게 제공한 점자형 선거공보는 94만 부에 달한다. 또, 투표안내문과 함께 받은 후보자 4명의 전단형 선거공보는 9천만 부.


관련기사


오늘의영상





“파주시의회, 장애인 통행로 가로막아도 모른척” 파주시의회가 장애인 이동권 보장을 위해 시의회 청사에 설치한 경사로 관리를 제대로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또한 파주시청 공무원들이 에너지 절약과 미세 먼지 저감, 교통 혼잡 완화를 위해 실시하고 있는 차량5부제를 피해 시의회 주차장 등 장애인 경사로 입구에 주차하고 있어 ‘장애인 노인 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편의증진법)과 도로교통법 제32조에 따라 과태료 부과 등 철저한 단속이 요구되고 있다. 21일 아침 파주시청 문화예술과 소속 두 팀장이 파주시의회 청사에 설치된 장애인 휠체어 경사로(통행로) 입구에 주차했다. 곧이어 시의회 직원들이 시청 공무원에게 연락해 출입로가 막히지 않게 옆으로 이동해달라고 요청했다. 그러나 여전히 휠체어가 지나가기는 어려운 상태다. 이날은 차량5부제 끝자리 번호가 2번과 7번이다. 두 팀장의 차량이 모두 해당된다. 편의증진법 제8조 편의시설의 설치 의무는 ‘공공기관, 공공시설, 다중이용시설의 건축주나 관리주체는 장애인 등이 이용하기 위한 편의시설(경사로, 출입구 접근로)을 설치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설치된 경사로 등 편의시설 앞에 주차를 해 휠체어 이동을 방해할 경우 ‘도로교통법 제32조(주차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