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문화일반

“저 다리가 아무 써먹을 데 없는 고물이라도...”


현장사진연구소 이용남 사진가의 리비교 가는 길사진집이 출간된다. 이 사진집은 한국전쟁에 참가한 미군이 전쟁물자 수송을 위해 195374일 임진강에 건설한 리비교를 파주시가 새로운 다리 건설을 위해 철거하는 과정을 기록한 것이다.

 

 리비교 주변 마을에서 1955년 출생한 사진가는 너댓 살 때 임진강 건너 미군부대에 근무하는 아버지를 따라 리비교를 건넌 기억과 미군병사였던 아버지를 찾으러 미국으로 떠나는 흑인 혼혈 친구와 리비교 아래에서 밤을 지새운 기억을 작업노트에 떠올렸다.

 

 이 사진집에는 동화작가로 유명한 장경선 작가의 글이 실렸으며, 여현미 선생이 디자인을 맡아 파주 교하에 있는 구름바다출판사(대표 박인애)에서 출간된다.

 

 아래는 사진집에 실린 이용남 사진가의 서문이다.

 

작가의 글

한국전쟁 당시 남쪽 임진강에 군수물자 수송을 위한 교량 11개가 세워졌다. 정전협정 이후 크고 작은 다리는 모두 없어지고 파평면 장파리의 리비교만 남았다. 195374일 주한미군이 건설한 리비교는 피란민, 농민, 군인, 미군클럽 종사자 등 수많은 사람들이 건너다녔다.

 

나의 고향은 파평면 아랫장마루. 우리 집 사랑방에는 내 또래의 흑인 혼혈 아이와 양공주라고 불렸던 엄마가 미군과 함께 세 들어 살았다. 미군 아버지는 리비교 건너 부대에 근무했는데 주말이 되면 집으로 오곤 했다.

 

내 흑인 친구는 미군 아버지가 오면 밖으로 쫓겨나다시피 했다. 해 떨어져 어둠이 깔려도 들어오라는 소리가 없을 때는 우리 집에서 잠을 자기도 했다. 내 친구가 살던 그 사랑방은 가끔 웃음소리가 들리기도 했지만 비명에 가까운 울부짖음이 더 많았다.

 

저녁 무렵이면 리비교 검문소 앞이 북적였다. 미제물건 장사꾼과 클럽 포주와 양색시(미군 위안부), 그리고 달러상 등 하루 일과를 마치고 리비교를 건너오는 미군을 기다리는 사람들로 장사진을 이루었다.

 

나는 흑인 친구와 곧잘 리비교에 갔다. 운이 좋으면 미군이 던져주는 초콜릿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었다. 어떤 날은 내 친구 엄마를 만나기도 했다. 친구는 엄마를 보면 내 뒤로 숨었다. 그러다가 엄마 눈에 띄게 되면 엄마는 빨리 집에 가라며 돌멩이를 던지는 시늉을 했다.

 

언제부터인가 친구 아버지를 볼 수 없었다. 내 나이 아홉 살 때인 1964년이었다. 혼혈 친구는 나보다 한 살 많았다. 사랑방에서는 거의 매일 술에 취한 엄마의 욕설과 친구의 울음소리가 들려왔다.

 

그러던 어느 날 친구 엄마가 손목을 그었다. 사랑방 솜이불이 시뻘겋게 물들었다. 문산 병원으로 옮겨진 친구 엄마는 그 병원에서 아들 몰래 어디론가 떠났다. 나는 친구와 함께 우리 집에서 지냈다. 내 친구는 거의 매일 리비교 앞에서 미군 아버지를 기다렸다.

 

1965년 어느 날 친구는 나에게 아버지를 만나러 미국에 간다고 말했다. 내일이면 아버지를 아는 어떤 아줌마가 데리러 온다고 했다. 그날 밤 나는 친구와 함께 리비교 밑에서 밤을 지새우며 여름철 홍수 수위를 눈금으로 표시해 놓은 교각의 숫자에 돌팔매질을 했다.

 

우리는 실뱀장어를 잡는 임진강 불빛이 사라질 때까지 새끼손가락을 걸며 약속했다. 미국에 가면 꼭 편지를 하겠다고...

 

친구는 미군 아버지를 만났을까?

새끼손가락 걸었던 리비교는 이제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오늘의영상





성노동자 기자회견 “성매매집결지 예산 삭감하라.” 대추벌 성노동자모임 ‘자작나무회’와 ‘성노동자해방행동 주홍빛연대 차차’ 등 여성단체 활동가 40여 명은 9일 오전 파주시의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파주시의 성매매집결지 예산 68억은 성매매 건축주의 배만 불리는 것’이라며 규탄했다. 자작나무회 대표 별이 씨는 성매매집결지 건축주의 배만 불리는 파주시의 정책을 비판하며 성노동자와의 대화를 촉구했다. “성매매업소 건물주들은 업주들에게 오랜 기간 높은 임대료를 받아 챙겼습니다. 이에 더해 파주시는 성매매집결지 폐쇄라는 김경일 시장의 정치적 성과를 만들어내기 위해 공시가격보다 훨씬 비싼 값으로 건물과 토지를 사들이고 있습니다. 그런데 그 건물 안에서 살아온 세입자와 성노동자들은 이주보상대책 하나 없이 내쫓기고 있는 실정입니다. 김경일 시장에게 묻고 싶습니다. 이번에 편성된 68억 원까지 더하면 건물 매입 비용만 100억 원이 넘습니다. 이렇게 많은 예산을 투입한 결과 대추벌이 폐쇄됐습니까? 시민의 혈세가 끝도 없이 사용되고 있지만 대추벌은 여전히 존재합니다. 그 이유가 무엇입니까? 성노동자들에 대한 현실적인 이주대책이 단 한차례도 마련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저희 자작나무회는 분명히 말합니다. 성노동자들과 대화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