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4.5℃
  • 맑음강릉 2.3℃
  • 맑음서울 -1.4℃
  • 맑음대전 1.2℃
  • 맑음대구 2.2℃
  • 맑음울산 1.7℃
  • 흐림광주 4.8℃
  • 맑음부산 4.4℃
  • 흐림고창 3.5℃
  • 구름많음제주 9.9℃
  • 맑음강화 -2.1℃
  • 맑음보은 -2.5℃
  • 맑음금산 1.9℃
  • 구름많음강진군 5.0℃
  • 맑음경주시 -0.4℃
  • 구름조금거제 4.0℃
기상청 제공

문화일반

“저 다리가 아무 써먹을 데 없는 고물이라도...”


현장사진연구소 이용남 사진가의 리비교 가는 길사진집이 출간된다. 이 사진집은 한국전쟁에 참가한 미군이 전쟁물자 수송을 위해 195374일 임진강에 건설한 리비교를 파주시가 새로운 다리 건설을 위해 철거하는 과정을 기록한 것이다.

 

 리비교 주변 마을에서 1955년 출생한 사진가는 너댓 살 때 임진강 건너 미군부대에 근무하는 아버지를 따라 리비교를 건넌 기억과 미군병사였던 아버지를 찾으러 미국으로 떠나는 흑인 혼혈 친구와 리비교 아래에서 밤을 지새운 기억을 작업노트에 떠올렸다.

 

 이 사진집에는 동화작가로 유명한 장경선 작가의 글이 실렸으며, 여현미 선생이 디자인을 맡아 파주 교하에 있는 구름바다출판사(대표 박인애)에서 출간된다.

 

 아래는 사진집에 실린 이용남 사진가의 서문이다.

 

작가의 글

한국전쟁 당시 남쪽 임진강에 군수물자 수송을 위한 교량 11개가 세워졌다. 정전협정 이후 크고 작은 다리는 모두 없어지고 파평면 장파리의 리비교만 남았다. 195374일 주한미군이 건설한 리비교는 피란민, 농민, 군인, 미군클럽 종사자 등 수많은 사람들이 건너다녔다.

 

나의 고향은 파평면 아랫장마루. 우리 집 사랑방에는 내 또래의 흑인 혼혈 아이와 양공주라고 불렸던 엄마가 미군과 함께 세 들어 살았다. 미군 아버지는 리비교 건너 부대에 근무했는데 주말이 되면 집으로 오곤 했다.

 

내 흑인 친구는 미군 아버지가 오면 밖으로 쫓겨나다시피 했다. 해 떨어져 어둠이 깔려도 들어오라는 소리가 없을 때는 우리 집에서 잠을 자기도 했다. 내 친구가 살던 그 사랑방은 가끔 웃음소리가 들리기도 했지만 비명에 가까운 울부짖음이 더 많았다.

 

저녁 무렵이면 리비교 검문소 앞이 북적였다. 미제물건 장사꾼과 클럽 포주와 양색시(미군 위안부), 그리고 달러상 등 하루 일과를 마치고 리비교를 건너오는 미군을 기다리는 사람들로 장사진을 이루었다.

 

나는 흑인 친구와 곧잘 리비교에 갔다. 운이 좋으면 미군이 던져주는 초콜릿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었다. 어떤 날은 내 친구 엄마를 만나기도 했다. 친구는 엄마를 보면 내 뒤로 숨었다. 그러다가 엄마 눈에 띄게 되면 엄마는 빨리 집에 가라며 돌멩이를 던지는 시늉을 했다.

 

언제부터인가 친구 아버지를 볼 수 없었다. 내 나이 아홉 살 때인 1964년이었다. 혼혈 친구는 나보다 한 살 많았다. 사랑방에서는 거의 매일 술에 취한 엄마의 욕설과 친구의 울음소리가 들려왔다.

 

그러던 어느 날 친구 엄마가 손목을 그었다. 사랑방 솜이불이 시뻘겋게 물들었다. 문산 병원으로 옮겨진 친구 엄마는 그 병원에서 아들 몰래 어디론가 떠났다. 나는 친구와 함께 우리 집에서 지냈다. 내 친구는 거의 매일 리비교 앞에서 미군 아버지를 기다렸다.

 

1965년 어느 날 친구는 나에게 아버지를 만나러 미국에 간다고 말했다. 내일이면 아버지를 아는 어떤 아줌마가 데리러 온다고 했다. 그날 밤 나는 친구와 함께 리비교 밑에서 밤을 지새우며 여름철 홍수 수위를 눈금으로 표시해 놓은 교각의 숫자에 돌팔매질을 했다.

 

우리는 실뱀장어를 잡는 임진강 불빛이 사라질 때까지 새끼손가락을 걸며 약속했다. 미국에 가면 꼭 편지를 하겠다고...

 

친구는 미군 아버지를 만났을까?

새끼손가락 걸었던 리비교는 이제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오늘의영상





손배찬 전 파주시의회 의장 ‘흔들리지 않는 길’ 회고록 출간 손배찬 전 파주시의회 의장이 고향 파주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의 이야기를 담은 회고록 ‘흔들리지 않는 길’을 출간했다. 1962년 야당3리의 옛 지명인 ‘아홉 우물’에서 나고 자란 손배찬은 ‘아홉 우물’의 유래를 이렇게 전했다. “마을에 우물이 아홉 개가 있었죠. 그래서 ‘구우물’이라고 불렀어요. 실제 내가 중학교 다닐 때까지도 크고 작은 우물이 여러 곳에 있었는데 이 중에 가장 큰 ‘아범물’에서 동네 사람들이 빨래를 하곤 했어요. 그런데 어른들한테 전해 들었던 우물의 의미가 구름으로 비유돼 ‘구름우물’이라고도 했죠. 그 바람에 경의선 운정역이 구름 ‘운’에 우물 ‘정’으로 씌어졌다고 해요.” ‘아홉 우물’ 소년 손배찬은 서울로 유학을 가 동국대학원에서 행정학을 전공했다. 그리고 고향 파주에 뿌리를 내리고 파주시의회 의장과 파주시청소년재단 대표이사를 역임하는 등 파주 구석구석을 발로 뛰며 시민의 목소리를 들었다. 그가 신조로 삼아온 현장에서 답을 찾는 생활정치를 실현하려고 했다. 그는 회고록을 펴내게 된 동기를 “우리 사회는 내란이라는 위기를 민주주의로 이겨냈고, 국민이 주인인 나라임을 증명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말한 진짜 대한민국의 정신은 다름을 존중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