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5.9℃
  • 맑음강릉 10.1℃
  • 맑음서울 8.9℃
  • 맑음대전 9.5℃
  • 맑음대구 7.1℃
  • 맑음울산 10.7℃
  • 맑음광주 11.0℃
  • 맑음부산 13.8℃
  • 맑음고창 9.6℃
  • 구름많음제주 12.0℃
  • 맑음강화 9.7℃
  • 맑음보은 5.7℃
  • 맑음금산 5.5℃
  • 맑음강진군 9.8℃
  • 맑음경주시 7.0℃
  • 구름많음거제 11.5℃
기상청 제공

파주 캠프하우즈 공여구역 주변지역 도시개발사업 사업제안 및 사업자 공모 추진

파주시는 조리읍 봉일천리 일원의 캠프하우즈 주변지역 도시개발구역에 대해 사업자 공모를 추진할 예정이다.

 

 캠프하우즈는 1953년 미군에 공여되고 2004년 미군의 철수, 2007년 한국군에 반환된 지역으로 주한미군 공여구역주변지역 등 지원특별법 제정 후 발전종합계획에 반환되는 공여구역은 파주시가 근린공원으로 조성하고 주변 지역은 민간사업자가 추진하는 도시개발사업으로 반영됐다.

 

 파주시는 주한미군 공여구역 주변지역 등 지원 특별법에 의거 2009624일 캠프하우즈 도시개발 사업자 공모를 통해 A사를 선정했다. 2014912일 도시개발구역 지정 및 개발계획 수립에 대한 사업시행승인(1단계)A사를 사업시행자로 지정해 도시개발사업 실시계획 인가에 대한 사업시행승인(2단계)을 위해 환경영향평가(본안) 및 지정권자인 경기도에 의제협의 등 모든 기관협의가 완료됐으나, 파주시와 체결한 협약의 미이행과 사업시행승인조건 미이행, 실시계획 인가 요건 미충족 등의 사유로 2018917일 사업시행자 지정 취소 처분했다.

 

 이에 A사는 201812월 파주시를 상대로 행정심판 및 행정소송을 제기했으나 20193월 행정심판이 기각됐고, 201912월 행정소송(1)이 기각됐다. 의정부지방법원의 판결문에 따르면 승인조건 및 상세협약을 이행하지 않고 있어 도시개발사업을 계속 시행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고 그로 인해 공익을 해할 우려도 적지 않은 상태인바, 파주시의 처분에 일탈·남용의 위법이 있다고 보기 어렵다고 판단했다.

 

 파주시는 캠프하우즈 주변지역 도시개발사업이 2010년부터 진행됐으나 행위제한과 주민 토지보상 지연 등 도시개발사업이 장기화되고 있어 도시개발사업의 조속한 추진을 위해 사업자 공모를 추진했으며 공모를 통해 재원조달능력과 시공능력 등 사업수행능력이 우수한 업체를 선정해 사업을 정상 추진할 예정이다.

 

 이달 31일 사업설명회를 거쳐 525일부터 29일까지 5일간 사업제안서를 접수할 계획이며 평가를 통해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민간사업자와 협약을 체결해 행정절차 등을 조속히 진행할 예정이다.

 

 한편, 캠프하우즈 주변지역 도시개발사업은 주한미군 공여구역주변지역 등 지원특별법을 근거로 개발사업이 시행되며, 승인권자는 파주시장으로 조속한 행정절차 이행을 위해 파주시도 적극 지원할 방침이다.

 

 

 

 

 

 

 


오늘의영상





장파리 이야기에 유명인과 술집이 그렇게 중요한가? 1960년대 파평면 장파리 현대사를 얘기하다 보면 약방의 감초처럼 등장하는 사람이 있다. 바로 가수 조용필이다. 조용필이 고등학교 때 장파리로 가출해 미군 클럽에서 기타를 치며 노래를 했다는 것이다. 그 클럽은 파주시가 발간한 ‘장파리 마을이야기’에 나오는 ‘라스트 찬스’이다. ‘라스트 찬스’ 이름의 진실은 지난 호에서 언급했으므로 생략한다. 파주바른신문은 2021년 5월 한겨레신문과 함께 조용필 씨가 파평면 장파리 미군 클럽에서 노래한 사실을 파악하기 위해 조용필 씨 매니저를 접촉했다. 그런데 매니저는 공식적으로 얘기해 줄 수 없다는 입장이었다. 한겨레도 흑역사로 치부될 수 있는 과거를 뚜렷한 사실관계 없이 지역이나 특정 목적 홍보에 이용하는 건 조심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그런 얘기는 조용필 씨와 개인적으로 친한 사람이 술자리 정도에서나 나눌 얘기라고 덧붙였다. 파주시가 발간한 ‘장파리 마을이야기’는 가수 조용필 씨가 ‘라스트 찬스’에서 노래를 했다고 소개하고 있다. 그런데 마을이야기에 왜 술집과 유명인들을 앞세우는지 알 수 없다. 조용필 씨가 장파리에서 노래를 했든 안 했든 그것이 왜 마을이야기의 중심에 있어야 하는 걸까? 한국전쟁 이후 미군의 본격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