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6.1℃
  • 구름많음강릉 11.6℃
  • 맑음서울 5.2℃
  • 구름조금대전 6.9℃
  • 구름많음대구 10.2℃
  • 구름많음울산 10.9℃
  • 흐림광주 8.2℃
  • 구름조금부산 13.4℃
  • 흐림고창 7.3℃
  • 흐림제주 11.5℃
  • 맑음강화 4.4℃
  • 구름조금보은 6.0℃
  • 구름조금금산 7.6℃
  • 흐림강진군 9.4℃
  • 구름많음경주시 10.5℃
  • 구름많음거제 12.4℃
기상청 제공

사진이야기

[사진이야기] 운정역과 교하동장

“운정역 사진을 여기(동사무소)에 걸면 난리가 납니다. 그렇지 않아도 교하 주민들이 교하 이름을 빼앗아 간 운정에 대해 잔뜩 화가 나 있는데 거기다가 운정역 사진까지 이렇게 전시하면 그냥 안 있을 겁니다. 다른 사진은 없나요? 교하 면사무소 사진이나 뭐 이런 거…” 교하동장의 말이다.



 현장사진연구소(이하 현사연)가 교하의 사라진 옛 모습을 차례로 보여주는 ‘오늘의 사진’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최종환 파주시장의 역점 사업인 ‘마을살리기’에 동참하기 위해서다. 비용은 모두 현사연이 부담하는 문화예술 재능기부이다.


 경의선 운정역은 간이역이었다. 기차 통학을 한 세대는 대부분 곡산과 백마역을 기억할 것이다. 통기타를 치며 술 한잔 걸쳤던 주점이 즐비했기 때문이다. 당시 곡산역과 백마역은 고양군에 속했다. 기차가 파주에 들어서며 첫 번째 만나는 역이 운정역이다. 기차가 공릉천 ‘칠간다리’를 건널 때면 덜컹덜컹 소리에 잠을 깨고는 했다.



 기차표를 확인하는 검표원도 없었던 간이정거장 운정역은 이제 그 모습을 찾아볼 수 없다. 운정역은 운정신도시 개발 이전에 교하면에 속했다. 교하면은 삼국시대 ‘천정구현’이었으며, 신라 경덕왕 때 교하군으로 개칭됐을 정도로 역사 깊은 지역이다. 탄현 장릉에 있던 교하향교는 현재 금촌에 있다.


 교하동장은 옛 운정역 사진이 교하 동사무소에 걸리는 걸 반대하고 있다. 운정과 싸움이라도 할 기세다. 이는 개발로 나뉜 것보다 더 심각한 지역민의 갈라치기라는 생각이 든다. 교하면 아래 속해 있던 이름을 보고 싶지 않다며 거부하는 그 태도를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앞으로 교하동장은 교하 출신이 맡고 운정동장으로 가는 일은 없어야 할 것 같다.



오늘의영상





아홉 우물’ 소년 손배찬 ‘흔들리지 않는 길’ 회고록 출간 손배찬 전 파주시의회 의장이 고향 파주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의 이야기를 담은 회고록 ‘흔들리지 않는 길’을 출간했다. 1962년 야당3리의 옛 지명인 ‘아홉 우물’에서 나고 자란 손배찬은 ‘아홉 우물’의 유래를 이렇게 전했다. “마을에 우물이 아홉 개가 있었죠. 그래서 ‘구우물’이라고 불렀어요. 실제 내가 중학교 다닐 때까지도 크고 작은 우물이 여러 곳에 있었는데 이 중에 가장 큰 ‘아범물’에서 동네 사람들이 빨래를 하곤 했어요. 그런데 어른들한테 전해 들었던 우물의 의미가 구름으로 비유돼 ‘구름우물’이라고도 했죠. 그 바람에 경의선 운정역이 구름 ‘운’에 우물 ‘정’으로 씌어졌다고 해요.” ‘아홉 우물’ 소년 손배찬은 서울로 유학을 가 동국대학원에서 행정학을 전공했다. 그리고 고향 파주에 뿌리를 내리고 파주시의회 의장과 파주시청소년재단 대표이사를 역임하는 등 파주 구석구석을 발로 뛰며 시민의 목소리를 들었다. 그가 신조로 삼아온 현장에서 답을 찾는 생활정치를 실현하려고 했다. 그는 회고록을 펴내게 된 동기를 “우리 사회는 내란이라는 위기를 민주주의로 이겨냈고, 국민이 주인인 나라임을 증명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말한 진짜 대한민국의 정신은 다름을 존중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