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8℃
  • 맑음강릉 1.9℃
  • 맑음서울 -1.5℃
  • 흐림대전 1.5℃
  • 구름많음대구 3.1℃
  • 구름많음울산 2.8℃
  • 흐림광주 5.5℃
  • 구름많음부산 4.0℃
  • 흐림고창 5.4℃
  • 흐림제주 10.0℃
  • 맑음강화 -1.6℃
  • 흐림보은 0.5℃
  • 구름많음금산 2.5℃
  • 흐림강진군 7.1℃
  • 구름조금경주시 2.9℃
  • 구름많음거제 5.0℃
기상청 제공

사진이야기

[사진이야기] “어르신 존함이 어떻게… 나? 보호자야.”

시민회관 대공연장에 설치된 ‘파주시 코로나19 예방접종센터’ 2층 보호자석에서 중절모 차림의 두 어르신이 아래층 접종센터를 내려다보며 연신 누군가를 찾고 있다. 어르신 목에는 ‘보호자’라고 쓰인 목걸이가 걸려 있다.



 취재진이 두 달 넘게 접종센터에 상주하며 75세 이상 어르신의 화이자 접종을 사진과 영상으로 기록해 왔지만 어르신이 직접 보호자 목걸이를 하고 2층에 올라온 것은 처음 보는 일이다, 두 어르신은 탄현면 성동리에서 오셨다고 한다. 며칠 전 2차 접종을 마쳐 마음이 가벼운데, 할머니가 주사를 안 맞겠다고 버텨 가까스로 설득해 오늘 함께 나오게 됐다고 한다.



 존함을 물으니 “나? 보호자야.”라며 웃으신다. 코로나19 사진집을 발간할 계획인데 두 어르신의 모습을 찍고 싶다고 하니, 어르신은 흔쾌히 승낙하며 손가락으로 V자를 만들고 보호자 목걸이를 들어 포즈까지 취하신다.. 조끼 차림이 1934년생 신갑철 어르신이고, 흰색 차림의 박창득 어르신은 1937년생이시다.


오늘의영상





손배찬 전 파주시의회 의장 ‘흔들리지 않는 길’ 회고록 출간 손배찬 전 파주시의회 의장이 고향 파주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의 이야기를 담은 회고록 ‘흔들리지 않는 길’을 출간했다. 1962년 야당3리의 옛 지명인 ‘아홉 우물’에서 나고 자란 손배찬은 ‘아홉 우물’의 유래를 이렇게 전했다. “마을에 우물이 아홉 개가 있었죠. 그래서 ‘구우물’이라고 불렀어요. 실제 내가 중학교 다닐 때까지도 크고 작은 우물이 여러 곳에 있었는데 이 중에 가장 큰 ‘아범물’에서 동네 사람들이 빨래를 하곤 했어요. 그런데 어른들한테 전해 들었던 우물의 의미가 구름으로 비유돼 ‘구름우물’이라고도 했죠. 그 바람에 경의선 운정역이 구름 ‘운’에 우물 ‘정’으로 씌어졌다고 해요.” ‘아홉 우물’ 소년 손배찬은 서울로 유학을 가 동국대학원에서 행정학을 전공했다. 그리고 고향 파주에 뿌리를 내리고 파주시의회 의장과 파주시청소년재단 대표이사를 역임하는 등 파주 구석구석을 발로 뛰며 시민의 목소리를 들었다. 그가 신조로 삼아온 현장에서 답을 찾는 생활정치를 실현하려고 했다. 그는 회고록을 펴내게 된 동기를 “우리 사회는 내란이라는 위기를 민주주의로 이겨냈고, 국민이 주인인 나라임을 증명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말한 진짜 대한민국의 정신은 다름을 존중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