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사진이야기

[사진이야기8] 해외입양인의 다온숲 저녁노을

어린시절 영문도 모른 채 먼길을 떠나야 했던 해외입양인들이 천승세의 소설 ‘황구의 비명’ 무대가 된 파주읍 연풍리 갈곡천 옹벽에 ‘엄마의 밥상보’ 벽화를 그리고, 주민들과 감자캐기 체험 등 한마당 잔치를 벌인 뒤 관광버스를 타고 임진강과 북한마을이 코앞에 보이는 탄현면 대동리 다온숲 풀빛정원에 도착했다.



 다온숲은 입양인들한테 익숙한 곳이다. 다온숲은 그동안 입양인들에게 김치담그기, 감자캐기, 식사 제공 등 그동안 여러 후원을 아끼지 않았다. 이 날도 다온숲 풀빛정원 건물에는 입양 당시의 얼굴과 현재의 얼굴이 새겨진 대형 펼침막이 내걸렸다. 입양인들은 그 펼침막을 보며 환호했다. 그리고 자신의 모습이 있는 위치에 서서 사진을 찍었다.  



  다온숲 주방이 저녁식사 준비에 바쁘다. 특급 호텔 출신의 세프가 새우파스타, 베이컨 크림 파스타, 불고기 파니니, 다온숲 플래터 등 요리를 준비하는 사이 입양인들은 친정집 마당 같은  넓고 푸른 잔디밭을 걷거나 뛰었다. ‘내가 돌아온 나라 한국’을 주최한 미앤코리아 스텝이  북쪽을 가리키며 ‘저기 보이는 임진강 그 건너가 바로 북한땅’이라고 소개하자 입양인 모두 깜짝 놀라며 약속이나 한 듯 핸드폰을 북쪽으로 돌렸다.





 어느덧 해가 저물어 함경남도 마식령에서 발원해 서해로 흘러드는 임진강에 저녁노을이 붉게 드리웠다. 한 입양인은 잔디밭 통나무 의자에 앉아 미동도 하지 않은 채 노을만 응시했다. 무슨 생각을 하고 있을까? 지난한 그 세월의 무게를 가늠할 수 없지만 노을빛에 물든 평온한 얼굴 표정에서 엄마의 그리움이 묻어난다.





 다온숲 세프가 밖으로 나와 저녁식사 준비가 다 됐다며 입양인들을 부른다. 마치 엄마가 밥 먹으라고 부르는 소리 같다. 통역 스탭이 벙커 를 향해 큰소리로 전달한다. 잔디밭에 없던 입양인들이 군사용 지하벙커에서 튀어나온다. 다온숲 잔디밭 지하에는 군사용 벙커가 있다. 분단지역의 흔한 풍경이다. 이 벙커를 중앙선관위 전 사무총장 김대년 작가가 그림 수백여 점을 전시한 ‘김대년 벙커 갤러리’로 개관했다.



 저녁식사를 마친 입양인들이 파주 방문 소감을 나누었다. 용주골 주민들이 선물한 ‘밥상보’가 엄마를 닮았다며 영원히 간직하고 싶다는 사람도 있었다. 그리고 감자밭 흙냄새에 엄마를 떠올리며 울음을 터뜨렸던 일, 작은 화물차 적재함에 앉아 덜컹거리며 마을을 내달렸던 일, 잔치국수와 매운 겉절이 김치를 맛보며 주민들과 함께 웃었던 일, 찹쌀 떡메치기로 인절미 돌떡을 만들어 입에 넣어줬던 고마움 등을 가슴 속 깊이 안고 떠난다며 자리에서 모두 일어나 머리를 숙였다. 그리고 서로 부둥켜 안거나 손을 맞잡으며 다시 만나길 기원하는 석별의 정을 나누었다.















오늘의영상





성노동자 기자회견 “성매매집결지 예산 삭감하라.” 대추벌 성노동자모임 ‘자작나무회’와 ‘성노동자해방행동 주홍빛연대 차차’ 등 여성단체 활동가 40여 명은 9일 오전 파주시의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파주시의 성매매집결지 예산 68억은 성매매 건축주의 배만 불리는 것’이라며 규탄했다. 자작나무회 대표 별이 씨는 성매매집결지 건축주의 배만 불리는 파주시의 정책을 비판하며 성노동자와의 대화를 촉구했다. “성매매업소 건물주들은 업주들에게 오랜 기간 높은 임대료를 받아 챙겼습니다. 이에 더해 파주시는 성매매집결지 폐쇄라는 김경일 시장의 정치적 성과를 만들어내기 위해 공시가격보다 훨씬 비싼 값으로 건물과 토지를 사들이고 있습니다. 그런데 그 건물 안에서 살아온 세입자와 성노동자들은 이주보상대책 하나 없이 내쫓기고 있는 실정입니다. 김경일 시장에게 묻고 싶습니다. 이번에 편성된 68억 원까지 더하면 건물 매입 비용만 100억 원이 넘습니다. 이렇게 많은 예산을 투입한 결과 대추벌이 폐쇄됐습니까? 시민의 혈세가 끝도 없이 사용되고 있지만 대추벌은 여전히 존재합니다. 그 이유가 무엇입니까? 성노동자들에 대한 현실적인 이주대책이 단 한차례도 마련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저희 자작나무회는 분명히 말합니다. 성노동자들과 대화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