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사진이야기

[사진이야기3] 엄마의 밥상보

어린시절 세계 각국으로 떠나야 했던 해외 입양인들이 파주 용주골을 찾아온다는 소식에 연풍리 주민들이 가늠할 수 없는 입양의 아픔을 함께하자며 엄마의 마음이 담긴 밥상보를 선물로 준비했다. 용주골 작가 공방거리에 입주한 오색빛깔 조윤재 작가는 ‘엄마 밥상’이라는 수공예 배지를 만들어 입양인 가슴에 하나하나 달아줬다.




 주민들이 입양인들에게 선물로 증정한 밥상보는 ‘내가 돌아온 나라 한국’이라는 주제로 진행된 미국 비영리법인 미앤코리아의 ‘2024 모자이크 투어’의 용주골 벽화 그리기에서 창안됐다. 노인들의 쉼터로 자리잡은 갈곡천 다리 밑 공간에 주민들과 밥상보 모양의 벽화작업을 함께 하자는 입양인들의 제안이 있었던 것이다.


 벽화는 1984년 12월 경남 고성에서 태어나 생후 5개월 때 미국 워싱턴주에 살고 있는 노르웨이계 미국인 부모에게 입양된 하인아(미국명 Jennifer Canfield) 작가가 구상했다. 그런데 그 모양새가 용주골 주민들이 입양인들에게 엄마의 마음을 담아 선물하려는 한국 전통의 밥상보와 닮아 벽화 제목을 ‘엄마의 밥상보’라 부르기로 했다. 밥상보에는 ‘우리도 오늘을 기다렸습니다.’라는 주민들의 마음이 새겨져 있다.




 순수예술 분야에서 판화와 그림을 전공한 하인아 작가는 “모자이크 투어를 통해 한국에 돌아갑니다. 이 기회가 얼마나 감사한지 차마 말로 다 표현할 수 없습니다. 제 친가족을 찾고 한국으로 여행하는 것은 제 인생의 우선순위가 되었습니다. 가족들을 찾고자 노력하는 것이 제 의무라고 생각합니다. 가능하다면 한국에서 제 친가족을 찾는 과정들을 진행하고 싶습니다. 한국 방문 마지막 날인 6월 1일은 제가 미국에 도착한 지 딱 38년이 되는 날입니다. 이러한 작은 상징들이 제게 앞으로의 일들이 잘 풀릴 거라는 용기와 희망으로 다가옵니다.”라며 모국에 돌아온 소회를 밝혔다.




 연풍리 주민들이 준비한 밥상보와 복주머니는 윤후덕 국회의원이 하인아 작가에게 전달했다. 윤 의원은 이재홍 전 파주시장이 엄마 품 동산 조성 사업을 시작할 때부터 최종환 전 파주시장이 완공할 때까지 적극 지원하는 등 입양인의 한국 방문 때마다 한번도 빠지지 않고 함께 해온 데다 입양인만 보면 눈시울을 적셔 해외 입양인 커뮤니티에서는  ‘울보 의원’이라는 애칭이 붙어 있다.

 

 다음 호에 계속…




<관련기사 >
[사진이야기1] 엄마 품 동산의 종이비행기 - http://www.pajuplus.co.kr/news/article.html?no=13009





오늘의영상





[사진이야기] “시장님 빼고 찬성하는 사람 있나요?” 사진은 뿡뿡이, 번개맨, 펭수, 두다다쿵 등 EBS 캐릭터가 있었던 파주읍 연풍리 용주골의 연풍경원 모습이다. 파주시가 도시재생사업의 일환으로 조성한 것이었다. 연풍경원은 파주읍에 있는 어린이집, 유치원 등은 물론 멀리 떨어진 교하, 파평지역에서도 찾아올 만큼 어린이들의 꿈의 동산이었다. 특히 연풍지역에는 외국인 노동자가 많이 살고 있어 그 자녀들이 학교를 다녀온 후 부모가 일터에서 돌아올 때까지 뿡뿡이, 펭수와 놀이를 하며 기다리는 공간이기도 했다. 그런데 이 조형물이 김경일 시장 체제가 들어서면서 철거됐다. 운정의 놀이구름 캐릭터는 입장료가 있는 반면 연풍경원은 수익이 없어 캐릭터 사용료가 많이 든다는 이유였다. 도시재생사업을 경제적 논리로 바라본 것이다. 그렇다면 파주시민축구단 K리그2 진출에 따른 예산은 어떤가? 파주시의회 박은주 의원은 ‘파주시민축구단 K리그2 진출은 중장기적으로 수백억 원대의 시민 세금이 투입되어야 하는 중대한 정책 결정인데 공식적인 타당성 조사나 시민의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이 부족하다.’라며 재검토를 촉구하는 시정질문을 했다. 김경일 시장은 답변에서 “박은주 의원님 빼고 반대하는 사람이 있나요? 현재 K리그3에 25억 원 정도 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