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시가 한국전쟁 당시 미군과 한국 노동자들에 의해 세워진 임진강 리비교를 철거하면서 철빔에 써 있던 ‘조국통일’과 ‘남북통일’ 등 기록물을 제대로 관리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페인트로 기록된 이 글씨들을 화학적으로 보존처리해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의견과 파주시의회 의원들의 주문을 무시한 채 햇볕에 그대로 노출시켜 놓고 있다가 취재가 시작되자 하루만에 천막으로 가리는 등 복지부동 행정을 펴고 있다.
파주바른신문 취재진은 지난달 30일 파평면 리비교 앞에 조성 중인 문화광장을 찾았다. 광장 둘레에는 최종환 전 시장이 리비교의 역사를 보존하기 위해 원형 그대로 뜯어낸 철빔과 교각이 설치돼 있었다. 2단으로 쌓아놓은 철빔에는 “다 글렀다. 이제는 청춘도 꽃… 시절도 꿈같이 흘렀서라. 차라리 꽃잎처럼 고뇌와 피투성이에 젖은 이 몸을 이 강물 위에 던져 피세에서 나의 행복을 구하면 어떠리. 아 안타까운 나의 기원이여… 단 한번이라도 그대와 만나고저 살고 있소…”라는 글과 ‘조국통일’이라는 큼직한 구호가 쓰여져 있다.
최종환 전 시장은 임기 중 이 기록물들의 보존 처리를 지시했다. 담당부서는 글이 새겨진 이 철빔의 훼손을 막기 위해 별도의 장소에 야적해 햇볕을 차단했다. 김경일 시장이 당선된 후 담당부서는 보관돼 있던 철빔 처리를 위해 문화예술가와 파주시의회 최유각, 최창호 의원 등이 참석하는 전문가 회의를 장파리 문화광장 조성지와 파주시청에서 진행했다. 이 회의에서도 철빔 글씨가 1953년 정전협정 이전에 쓰여져 한국전쟁의 기록물로서 그 가치가 충분하다며 햇빛과 바람에 훼손되지 않도록 관리를 잘 해줄 것을 박석문 국장에게 당부하기도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