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9.2℃
  • 흐림강릉 20.2℃
  • 서울 19.6℃
  • 대전 19.3℃
  • 대구 20.5℃
  • 울산 20.9℃
  • 흐림광주 23.3℃
  • 흐림부산 25.4℃
  • 흐림고창 23.9℃
  • 구름많음제주 27.4℃
  • 흐림강화 18.9℃
  • 흐림보은 19.1℃
  • 흐림금산 19.6℃
  • 흐림강진군 24.7℃
  • 흐림경주시 20.9℃
  • 흐림거제 24.1℃
기상청 제공

지역소식

김경일 시장의 ‘아무 말 대잔치’…“집결지에 파주시민 한 명도 없다”

“여기(연풍리 성매매집결지)를 정비하지 않고 어떻게 균형발전을 얘기할 수 있습니까? 파주시민들이 거기(성매매집결지) 이용하는 사람 있습니까? 거기 종사하는 사람들 파주사람 있습니까? 거기 포주가 파주사람 있습니까? 전적으로 파주가 피해를 엄청나게 보고 있습니다.”
 
 김경일 파주시장이 14일 오전 11시 문산 프리마루체에서 개최된 파주시축산단체협의회장 이취임식에서 한 말이다. 김 시장의 주장을 해석하면 연풍리 성매매집결지 해체 이유가 파주시민이 성매매집결지를 이용하지 않는 데다 그곳 종사자와 업주들 모두 파주시민이 아니어서 파주는 아무런 이득 없이 피해만 입는다는 것이다. 



 김경일 시장의 말이 사실일까? 파주바른신문이 연풍리 성매매집결지 업주와 종사자들이 자체 집계한 결과와 취재진이 일부 업주의 주민등록증을 확인한 결과 업주 87%가 파주시에 주소를 갖고 있으며, 종사자는 낮 근무자와 일부 ‘싱글맘’ 등을 뺀 14일 밤 근무자를 상대로 파악해보니 40%가 파주시에 주소를 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에서 빠진 낮 근무 종사자가 파악되면 파주시에 주소를 둔 시민은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특히 파주시의회에 제출한 집결지 폐쇄 보류 청원서에 기재된 청원인 모두가 파주에 주소를 두고 있으며, 파주경찰서에 접수한 집회신고서에도 안전요원을 비롯 20여 명 전원이 파주시민이다. 그럼에도 김경일 시장은 아무런 근거도 없이 ‘아무 말 대잔치’를 벌였다는 지적이다.
 
 김 시장은 또 파주시민들은 연풍리 성매매집결지를 이용하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다. 즉 성구매자는 파주 사람이 아니라 외지인들이라는 것인데, 김 시장이 어떤 근거로 공적인 자리에서 이런 말을 했는지는 알 수 없다. 그러나 취재진이 입수한 종사자 한 명이 확보하고 있는 100여 명의 성구매자 단골 리스트는 파주시민이 대부분이라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또한 김경일 시장은 업주와 종사자 모두 파주시민이 아니어서 파주로서는 엄청난 피해만 보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연풍리 성매매집결지는 15년 전부터 파주시에 불우이웃돕기 성금을 기부해왔다. 그리고 매년 파주읍사무소에 20kg짜리 쌀 300포대를 기증하는가 하면 업주들로 구성된 난타공연팀이 봉황축제와 파주시체육대회에 초청을 받아 나가기도 했다. 특히 1년에 한 번씩 집결지 주차장에 무대를 만들어 경로잔치를 개최하는 등 지역사회와 밀접한 관계를 유지해오고 있는 것으로 취재됐다. 
 
 김경일 시장의 ‘아무 말 대잔치’가 성매매집결지 해체 전망을 더욱 어둡게 하고 있다. 



오늘의영상





파주여성민우회 “성매매집결지 걷기는 사생활과 인권침해” 파주여성민우회가 연풍리 성매매집결지 해체를 위한 파주시의 여행길(여성과 시민이 행복한 길) 걷기 행사가 집결지 여성의 사생활과 인권침해가 우려된다며 파주시에 코스 변경 등의 정책 변화를 제안했다. 그러나 파주시는 파주여성민우회가 성매매집결지 폐쇄를 전제로 한 시민지원단에 참가단체로 들어와 있으면서도 뒤늦게 이를 문제삼는 건 이해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지난 19일 파주읍 연풍리 문화극장에서 열린 파주시의 여행길 걷기 행사에 참가한 파주여성민우회는 파주시에 “내부가 들여다보이는 집결지 바로 앞을 지나는 여행길 걷기 행사는 성매매 여성들의 생활공간을 시민들에게 일방적으로 노출시켜 사생활과 인권을 침해하고 대상화하는 것으로 여행길 코스 변경을 요청한다.”라는 의견을 제안했다. 민우회는 또 “(참가자들이) 걷기 전 사전교육에서 사적인 대화나 웃음, 사진촬영 금지 등의 교육을 받고 있으나 실제 행사에서는 이러한 일이 발생하고 있다. 성매매집결지 폐쇄를 바라며 걷는 ‘여성과 시민이 행복한 길’이라는 명칭이 본래 취지와는 다르게 마치 관광지를 걷는 행사처럼 가볍게 보였다. 이러한 문제를 성매매집결지 담당팀장에게 전달했다.”라고 밝혔다. 그러나 파주시 성매매집결지 정비 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