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4.5℃
  • 맑음강릉 2.3℃
  • 맑음서울 -1.4℃
  • 맑음대전 1.2℃
  • 맑음대구 2.2℃
  • 맑음울산 1.7℃
  • 흐림광주 4.8℃
  • 맑음부산 4.4℃
  • 흐림고창 3.5℃
  • 구름많음제주 9.9℃
  • 맑음강화 -2.1℃
  • 맑음보은 -2.5℃
  • 맑음금산 1.9℃
  • 구름많음강진군 5.0℃
  • 맑음경주시 -0.4℃
  • 구름조금거제 4.0℃
기상청 제공

지역소식

이용남 사진가 “미국 노스웨스턴대학 초청 컨퍼런스 ” 용주골 강연

현장사진연구소 이용남 사진가가 13일 미국 노스웨스턴대학이 주최한 해외입양인 70년 역사에 대한 컨퍼런스에 초청돼 현재 파주시가 추진하고 있는 대추벌 성매매집결지 폐쇄와 용주골의 미군 기지촌 형성 과정에 따른 인권침해에 대해 강연했다.






 미국 노스웨스턴대학 해리스 홀에서 열린 컨퍼런스에는 미국, 프랑스, 독일, 덴마크, 네덜란드 등 5개국에서 300여 명의 해외입양인이 참가했다. 이용남 사진가는 강연에서 “1960년대 파주는 용주골 등 60여 곳에 미군이 주둔했다. 이 과정에서 한국 정부의 지원을 받아 미군 기지촌이 형성됐고 전국의 여성들이 몰려들었다. 1970년대 초 미국의 닉슨과 카터 대통령은 한국 정부에 미군 철수를 압박하며 미군 병사의 성병 전염을 문제 삼았다. 이에 따라 기지촌정화운동이 시작되고, 미군 위안부의 인권이 유린되었다. 2022년 한국의 대법원은 이러한 인권침해와 한국 정부의 잘못을 인정하고 손해배상을 판결했다. 대한민국 국회도 미군 위안부 명예회복과 지원에 관한 특별법을 발의했으나 미국의 눈치를 보며 제정하지 못하고 있다.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특별법이 제정될 수 있도록 한국 정부에 외교적 역할을 해줄 것”을 요구했다.






 이용남 사진가는 “파주 용주골은 조선시대 파주목 관아가 있었던 역사 깊은 지역이다. 그러나 한국전쟁과 함께 미군이 주둔하면서 폭력적 군사문화도시로 변모됐다. 특히 반룡산 기슭의 용주골은 백인출입지역, 흑인출입지역, 한국인출입지역으로 나뉘어 이른바 게토화(Ghetto. 격리지역)됐다. 용주골은 1975년 미군 철수와 함께 성산업 카르텔이 붕괴되면서 경제는 곤두박질 쳤다. 한국인을 상대했던 대추벌 성매매집결지는 미군이 떠난 뒤에도 그대로 남아 현재 김경일 파주시장이 폐쇄를 추진하고 있다. 이 바람에 성노동자 등 집결지 사람들이 크게 반발하고 있다. 대추벌 성매매집결지를 윤락행위방지법의 단속을 받지 않는 특정지구로 지정하고, 한국인의 미군 위안부 접촉을 막으면서 미군의 성적욕구를 해소했던 대추벌 성매매집결지 형성의 아픔과 상처가 치유될 수 있도록 파주시의 정책적 변화가 필요하다.”라고 역설했다.










오늘의영상





손배찬 전 파주시의회 의장 ‘흔들리지 않는 길’ 회고록 출간 손배찬 전 파주시의회 의장이 고향 파주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의 이야기를 담은 회고록 ‘흔들리지 않는 길’을 출간했다. 1962년 야당3리의 옛 지명인 ‘아홉 우물’에서 나고 자란 손배찬은 ‘아홉 우물’의 유래를 이렇게 전했다. “마을에 우물이 아홉 개가 있었죠. 그래서 ‘구우물’이라고 불렀어요. 실제 내가 중학교 다닐 때까지도 크고 작은 우물이 여러 곳에 있었는데 이 중에 가장 큰 ‘아범물’에서 동네 사람들이 빨래를 하곤 했어요. 그런데 어른들한테 전해 들었던 우물의 의미가 구름으로 비유돼 ‘구름우물’이라고도 했죠. 그 바람에 경의선 운정역이 구름 ‘운’에 우물 ‘정’으로 씌어졌다고 해요.” ‘아홉 우물’ 소년 손배찬은 서울로 유학을 가 동국대학원에서 행정학을 전공했다. 그리고 고향 파주에 뿌리를 내리고 파주시의회 의장과 파주시청소년재단 대표이사를 역임하는 등 파주 구석구석을 발로 뛰며 시민의 목소리를 들었다. 그가 신조로 삼아온 현장에서 답을 찾는 생활정치를 실현하려고 했다. 그는 회고록을 펴내게 된 동기를 “우리 사회는 내란이라는 위기를 민주주의로 이겨냈고, 국민이 주인인 나라임을 증명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말한 진짜 대한민국의 정신은 다름을 존중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