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지역소식

[제2보] 성매매집결지 폐쇄 관련 서명에 학생 동원 의혹, 학교 측은 부인

학부모단체가 파주시의회에 전달한 성매매집결지 예산 승인 촉구 서명부에 첨부된 학생들의 자필 서명과 관련해 해당 학교가 그런 일이 없었다고 부인했다. 취재진이 거듭 공식 확인을 요청하자 ‘교실에서는 절대 서명하지 않았으며, 교문 밖에서 학부모회가 받았을 수는 있다’고 밝혔다.
 
파주바른신문은 12일 오후 파주중학교 안 아무개 교감을 교장실에서 만나 파주시의회에 제출된 학생 서명부의 출처를 물었다. 



 안 교감은 “얼마 전 학부모회가 학교 차원의 성매매집결지 폐쇄 관련 서명운동을 제안해 이를 교장선생님과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교장선생님이 정치적 문제에 교육기관이 참여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해서 거부했고, 이후 더 이상 진척되지 않아 일단락된 것으로 판단했다. 그런데 우리 학교가 참여했다는 소식이 들려 확인을 해봤는데 학생들이 서명을 한 사실은 없었다. 그리고 우리 파주중학교는 교육의 중립적 가치를 지향하고 있어 이렇게 민감하고 정치적으로 예민한 사안에 대해 참여하는 것은 금지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안 교감은 또 “성매매집결지에 우리 학교 학부모가 있다. 성매매집결지 폐쇄와 관련 재산권 문제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학교는 어느 쪽의 입장에 설 수가 없다. 자칫 찬반 양론으로 나뉘게 되면 학교가 정치에 매몰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항상 조심하고 있는데 우리 학교 학생들이 서명을 했다는 것은 상상할 수 없다.”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취재진이 만난 복수의 학생들은 “교실에서 학생회 간부가 쉬는 시간에 서명지를 돌리며 모두 서명하라고 했다.”라고 말했다. 이 중 한 학생은 “처음에 서명을 거절했으나 무조건 다 쓰라고 해서 어쩔 수 없이 서명을 했고, 이런 사실을 부모에게 얘기했다.”라고 주장했다. 



 학생들이 서명한 서명지는 파주시 로고가 찍혀 있는 A4 용지 크기로, 15명이 성명과 주소를 기재하도록 제작돼 있다. 이 서명지가 어떤 경로를 거쳐 학생들에게 전달되었는지에 따라 파주시가 성매매집결지 예산을 통과시키기 위해 학생을 동원했다는 의혹이 밝혀질 것으로 보인다. 
 
 파주시의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위원장 손성익)는 11일 오전 파주시가 편성한 성매매집결지 거점시설 매입비 5억원과 집결지 순찰비용 6,000만 원 중 3,000만 원을 삭감했다. 




오늘의영상





최창호 의원 “해외입양인에 대한 대통령의 사과에 울컥” “이재명 대통령이 그동안 고통받은 해외입양인에 대해 대한민국을 대표해 사과한다는 그 말에 마음이 울컥했습니다. 지난해 10월 자치단체의 비협조를 감수하며 어렵게 제정한 ‘파주시 해외입양인 단체 지원 및 협력에 관한 조례’가 떠올랐기 때문입니다.” 기초자치단체로는 전국 최초로 해외입양인 지원 조례를 이끌어낸 파주시의회 최창호 의원이 해외입양인에 대한 대통령의 사과와 관련 주목받고 있다. 최 의원은 이 조례를 발의하기 위해 지난해 4월 미국행 비행기에 올랐다. 시카고의 노스웨스턴대학이 주최한 ‘해외입양인 70년 컨퍼런스’에 참가하기 위해서였다. 최 의원은 입양인 300여 명이 모인 컨퍼런스에서 “엄마품동산이 20여만 명 입양인들의 고향이 될 수 있도록 파주시의회가 노력하고 있다. 이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하는 ‘파주시 해외입양인 지원 조례’ 제정을 위해 다양한 의견을 들으려고 이 자리에 참가하게 됐다.”라고 밝혔다. 컨퍼런스를 마치고 돌아온 최창호 의원은 이익선, 이진아, 이혜정 의원과 함께 ‘파주시 해외입양인 단체 지원 및 협력에 관한 조례’를 대표 발의했다. 조례는 한국전쟁과 함께 파주 곳곳에 미군 기지촌이 형성되면서 달러벌이에 나선 기지촌 여성들과 미군 사이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