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사회

두 번째 글 - <최병록 기자를 추억하며...>

추징금 600만 원, 사망 전날까지 검찰청에 30만 원 납부하고 떠나...


밤새도록 신문 원고를 쓰다가 호흡곤란으로 세상을 떠난 파주바른신문 최병록 대표를 추모하는 첫 번째 글에서 최영실 파주시의원이 이용남 기자의 양심선언을 무마하기 위해 최 대표를 통해 파주신문 법인 계좌에 600만 원을 입금했고, 이 돈을 법원이 추징하는 과정에서 파주신문 공동대표 내종석 발행인이 금융기관에 통장 분실신고를 내는 방법으로 600만 원을 가로채 최 대표의 자동차와 은행 계좌가 압류됐음을 밝혔다.

 최병록 대표는 압류를 풀기 위해 고양검찰청을 찾았다. 벌금 400만 원은 카드 할부로, 그리고 추징금 600만 원은 매달 조금씩 갚겠다고 사정했다. 검찰청 집행과는 장애인 수첩을 내보이며 호소하는 최 대표의 딱한 사정을 감안해 분할 납부를 승인했다.

 최병록 대표는 추징금을 매달 10만 원에서 30만 원씩 갚아 나갔다. 취재진이 고양검찰청에 납부 사실을 확인한 결과 세상을 떠나기 전날인 7월 23일에도 30만 원을 입금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무렵은 최 대표가 일산 백병원에서 퇴원한지 얼마 안 됐을 시기로 최 대표가 평소 추징금 납부 압박에 얼마나 시달렸는지를 가늠케 한다. 이 돈 30만 원은 직원 조영애 기자가 빌려준 것으로 알려졌다.

  최병록 대표가 일산 백병원에 입원해 있을 때인 6월 26일, 필자는 파주인 대표 내종석 발행인에게 “마지막으로 부탁합니다. 최병록 대표에게 600만 원을 6월 말일까지 돌려주십시오.”라는 간청의 글을 보냈다.

  그리고 6월 29일에도 “최 대표는 현재 중환자실에서 사경을 헤매고 있습니다. 내가 600만 원을 반환하라고 제안하는 것은 두 사람 모두를 위해서입니다. 최 대표의 자녀가 신문사 앞에서 1인 시위를 하면 속 시원한 일은 아니지 않습니까?”라는 글을 보냈다.

  내종석 발행인은 아무런 답변이 없었다. 그래서 다시 최병록 대표와 아들 도섭이가 일산 백병원 입원실 침대와 그 아래 보조침대에 나란히 누워 있는 사진과 “신문 발행할 돈은 있어도 600만 원을 반환할 생각은 없는가?.”라는 글을 보냈다.

 내종석 대표가 추징금 600만 원을 돌려줘야 하는 이유는 법원 판결문을 보면 분명해진다.

의정부지방법원 고양지원 제1형사부(김창형 부장판사)는 “피고인 최영실은 파주신문 측의 박정 후보에 대한 기사 작성과 이용남에게 선거운동을 도와달라며 200만 원을 지급한 사건을 무마하기 위해 광고비를 가장하여 600만 원을 최병록에게 지급하였다.”라고 판결했다.

  즉, 파주신문 법인계좌에 입금된 600만 원은 광고비가 아니라 공직선거법상 금품이라는 점을 재판부가 명확하게 규정한 것이다. 그렇다면 파주신문 계좌에 있는 600만 원은 광고비가 아니기 때문에 이 돈을 파주신문이 사용할 것이 아니라 최병록 대표에게 돌려줘 추징금을 납부하게끔 했어야 했다. 최병록 대표는 마지막까지 30만 원을 검찰청에 납부하고 세상을 떠났다.

 다음 호부터는 1989년 파주신문사 총무부장으로 지역신문에 첫발을 내딛은 최병록 기자가 2012년 파주신문의 제호를 갖고 통합에 참여해 결국 공동대표 해임 등을 겪으며 고뇌했던 참 언론인 최병록의 삶을 연재한다.


오늘의영상





“파주시, 해외출장 공무원과 민간인 신분 모두 밝힐 수 없어” 김경일 시장이 행정사무감사 기간에 해외출장을 떠나 일부 시의원들이 반발하고 있는 가운데 파주바른신문이 청구한 정보공개 답변서에 민간인은 물론 공무원 신분까지도 밝힐 수 없다는 입장이어서 기업인의 역할과 공무원의 출장 목적이 무엇인지 의문이 일고 있다. 파주시는 오는 6월 11일부터 13일까지 중국 진저우시 자매결연 30주년을 맞아 ‘제2회 랴오닝성 국제우호도시 무역대회’ 참석과 선양시와의 우호도시 양해각서 체결을 위해 김경일 시장을 비롯 공무원 9명과 민간인 5명 등 14명이 방문할 계획이다. 그러나 파주시는 기업인 동행 이유에 대해 “공공외교와 경제교류 등의 역할과 무역대회에서 기업간 간담회에 참여할 예정이다.”라며 구체적 방문 목적을 설명하지 않고 있다. 파주시는 파주바른신문의 기업인과 공무원 신분에 대한 정보공개청구 답변에서 “실명 등 개인정보는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비공개 대상이다. 기업인은 물론 공무원도 누가 출장을 가는지 밝힐 수 없다. 출장비 역시 구체적인 산출이 이루어지지 않아 현재로선 정확히 알 수가 없다.”라고 했다. 파주시는 또 김경일 시장 등 방문단의 항공권 좌석 등급에 대한 공개에 대해서도 ‘공무원 국외여비 규정을 참고하고 있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