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사진이야기

[시장사람들] 두 아들 억척으로 키워낸 어머니를 기억합니다.



파주바른신문은 그동안 금촌 전통시장을 기록해온 현장사진연구소와 함께 시장사람들이라는 주제로 세상을 떠났거나 장사를 그만둔 상인들의 사연을 연재한다. 그 첫 번째로 두 아들을 훌륭하게 키워낸 박봉조 할머니를 소개한다.

 

 20여 년 전 금촌시장에서 만났던 박봉조(당시 65) 할머니가 3년 전 세상을 떠났다. 현장사진연구소는 할머니를 촬영했던 그 자리를 다시 찾았다. 할머니가 쪼그려 앉아 있던 시장 모퉁이 골목에는 여전히 생선 비린내가 배여 있는 듯하다. 할머니는 당시 작은아들을 네덜란드로 음악공부를 보냈다고 자랑했다.

 

 사춘기 그 시절, 시장 바닥에 앉아 장사를 하는 어머니 때문에 친구들로부터 놀림을 당하거나 아니면 스스로 어머니를 피해 다른 길로 다녀야 했던 씁쓸한 기억은 간혹 드라마의 소재로 등장한다. 그러나 여기, 시장 사람들에게는 그것이 드라마가 아닌 현실이었다. 특히 결혼 3년 만인 스물아홉 살에 남편과 사별하고 두 아들을 억척으로 키워온 박봉조 씨에게는 더욱 그러했다.


  박씨는 인천 방직공장에서 남편을 만나 결혼했다. 남편은 금촌에서 새우젓 장사를 하는 동생에게 새우젓을 산지에서 직접 받아 보내는 일을 했다. 그런 남편이 세상을 떠나자 박씨는 금촌으로 와 시장에 좌판을 놓고 생선을 팔았다.

 

  “그 때만 해도 비가 오면 시장 바닥이 발목까지 빠질 만큼 질퍽거렸어. 바닥에 나무로 된 사과상자를 쪼개 깔았는데 발을 움직일 때마다 판자 사이사이로 물이 삐져나와 버선발이 모두 젖어버리고는 했었지. 저녁 때면 발이 퉁퉁 부어서 걸을 수가 없을 정도였어.”

 

  젊은 나이에 장사가 너무 힘들어 인천으로 내려간 박씨는 맥아더 공원에서 떡장사를 하다가 다시 금촌으로 왔다. 그 동안에도 두 아들은 열심히 자라주었다. 큰 아들이 문산농고(현재 문산제일고)에 다닐 때에는 장한 어머니상을 받기도 했다. 그런데 시장 바닥에서 장사하는 엄마를 둔 두 아들이 어떻게 사춘기를 겪어 냈을지를 생각하면 늘 목이 메인다.

 

  작은 아들은 문산고를 다녔는데, 밴드부 활동을 했다. 이 같은 사실을 뒤늦게 안 박씨는 택시를 잡아타고 학교로 내달렸다. 음악을 못 하게 하기 위해서였다. 차오르는 숨을 고르며 교실 앞에 다다랐을 때 돌아와요 부산항에라는 연주가 흘러나왔다. 박씨는 그 자리에 얼어붙은 듯 그 노래를 끝까지 들었다. 그리고 그냥 발길을 돌렸다. 아마도 먼저 간 남편 생각이 났으리라.

 

  할머니가 자랑하던 작은아들은 현재 중앙대 음대 교수가 됐다. 그러나 박씨는 자신의 아들이 대학 교수라는 사실을 이웃에게 말하지 않았다. 그것이 생선을 팔아 뒷바라지한 아들에 대한 어미의 마음이다.


오늘의영상





대추벌 성노동자 연대단체 “김경일 시장 자격 없다.” “김경일 시장님, 나는 연풍리 성노동자입니다. 파주시장은 이 영화제 축사를 할 자격이 없습니다.” 제17회 DMZ 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개막식이 지난 11일 임진각에서 열렸다. 그런데 영화제 조직부위원장인 김경일 파주시장의 축사와 장해랑 집행위원장의 다큐멘터리 소개가 끝날 무렵 관중석에 앉아 있던 한 젊은 여성이 큰소리로 파주시장을 비판했다. 사회자는 “하실 말씀이 있는 분은 영화제가 끝나고 해주시면 감사하겠다.”라며 여성을 진정시켰다. 이날 젊은 여성은 자신을 연풍리 성노동자라고 했다. 그러나 취재 결과 대추벌 성노동자모임 자작나무회와 연대하고 있는 문화예술단체 회원인 것으로 파악됐다. 이들은 왜 다큐멘터리영화제에서 김경일 시장을 비판한 것일까? 영화제에 참가한 한 문화예술인은 “이들은 ‘우리가 살고 싶은 하루’라는 영화제 슬로건이 불평등, 차별, 혐오 없는 세상을 다루고 있는 것에 반해 김경일 파주시장의 강압적 성매매집결지 폐쇄 정책이 영화제 축사와 전혀 어울리지 않는다는 판단을 한 것 같다.”라고 분석했다. 김경일 시장의 개막식 축사에 앞서 영화제 사회를 맡은 배우 김중기 씨는 “이 자리에 계신 우리 모두는 이 순간 세상의 모든 경계선을 돌파하고 실천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