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4.0℃
  • 맑음강릉 0.7℃
  • 맑음서울 -1.9℃
  • 맑음대전 -0.3℃
  • 맑음대구 2.1℃
  • 맑음울산 2.3℃
  • 흐림광주 4.9℃
  • 맑음부산 3.1℃
  • 흐림고창 3.7℃
  • 제주 10.2℃
  • 맑음강화 -3.2℃
  • 구름많음보은 -0.6℃
  • 흐림금산 0.3℃
  • 흐림강진군 7.0℃
  • 구름조금경주시 1.8℃
  • 맑음거제 4.8℃
기상청 제공

사진이야기

[사진이야기] “파주시의원님들 밥값은 정말 하고 있나요?”


지방자치가 부활한 지 올해로 꼭 30년이다. 우리나라 지방자치제도는 한국전쟁이 일어나기 바로 전 1949년 제정되었고, 1952년 시도의회 의원선거가 실시되었다. 그러나 1961년 군사 쿠데타로 지방의회가 강제 해산됐다.


 그렇게 중단됐던 지방자치는 1991년 지방의회 의원선거와 함께 부활했다. 그러나 지방자치단체장은 1995년까지 임명제가 유지되다가 1995년 6월 27일 지방의회 의원과 단체장을 뽑는 동시선거가 실시되면서 본격적인 지방자치 시대가 열렸다.


 파주시의회는 1991년 3월 26일 파주군의원 선거와 함께 파주군청 건물에서 출범했다. 무보수 명예직이었다. 그럼에도 시민들의 민원을 발로 뛰어다니며 해결하는 등 나름의 책임감과 봉사 정신을 발휘했다. 이렇게 동분서주하는 과정에서 몇몇 의원들은 땅과 소를 팔아 의정활동비에 충당하기도 했다. 의장을 역임한 어떤 의원은 경조사비로 소 10마리를 팔았다고 술회하기도 했다. 그러하니, 기초의회 의원에 당선되는 것이 무조건 반길 일은 아니었다.


 무보수 명예직이 유급으로 바뀐 것은 2006년이다. 이제 의원들은 경조사비를 안 내도 되고, 세비로 연봉 3,600만 원을 받기도 한다. 게다가 업무추진비로 의장은 3,683만 원, 부의장은 1,764만 원, 그리고 상임위원회인 운영위, 자치행정위, 도시산업위 위원장이 각각 1,228만 원을 사용할 수 있다.


 이렇듯 보수는 무급에서 유급으로 바뀌었는데, 의정 활동은 어떠할까? ‘사진이야기’의 흑백사진은 무보수 명예직 의원들이 해외연수를 떠날 때 공항에서 단체로 찍은 기념사진이다. 양복저고리 왼쪽에 달린 의원 뱃지가 선명하다.


 현재 의정 활동을 하고 있는 제7대 파주시의회 의원들도 해외연수를 다녀왔다. 당시 취재진도 인천공항으로 갔다. 무보수 명예직 의원들 때처럼 떠나는 모습을 찍기 위해서였다. 그런데 파주시의회가 제작한 연수단 펼침막을 펴놓고 사진을 찍자고 제안했지만 시의원들은 시민들의 해외연수 비난을 의식한 듯 이를 펼치지 못한 채 그냥 비행기를 탔다.


 제6대 파주시의원들은 중국으로 해외연수를 나갔다가 공항 근처에서 밥을 먹던 중 비행기를 놓쳤다. 대절 버스는 길을 잘못 들어 고속도로를 내달리다가 되돌아오고 기차 안에서 빈 술잔을 머리에 올리는 원샷 파티를 벌이기도 했다. 이 연수에 참가했던 한 의원은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구속돼 의원직을 상실했고, 같은 당 또 다른 의원은 평소 알고 지내던 여성에게 음란문자를 보내 벌금형을 받기도 했다. 


 제5대 파주시의원도 해외연수를 다녀왔다. 당시 파주시청 버스로 인천공항으로 가던 중 의정팀장이 맨 앞으로 나가 시의원들에게 “지금 방송에서 정치인들의 해외연수 비난이 많은데 우리도 혹시 공항에서 사람들이 의원 뱃지를 보면 뭐라고 할 수도 있으니까 차 안에서 모두 뱃지를 떼는 게 어떤가?”라고 제안했다. 그러자 시의원들은 일제히 가슴에서 뱃지를 떼어 냈다.


 이제 3월이면 지방의회 출범 30년이다. 제7대 파주시의원들은 정말 밥값이나 하고 있는 걸까? 회계연도 마감 하루를 앞두고 업무추진비로 프랑스제 화장품을 사들이는 운영위원장을 무보수 명예직 선배들은 어떤 시선으로 바라보고 있을까?



오늘의영상





손배찬 전 파주시의회 의장 ‘흔들리지 않는 길’ 회고록 출간 손배찬 전 파주시의회 의장이 고향 파주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의 이야기를 담은 회고록 ‘흔들리지 않는 길’을 출간했다. 1962년 야당3리의 옛 지명인 ‘아홉 우물’에서 나고 자란 손배찬은 ‘아홉 우물’의 유래를 이렇게 전했다. “마을에 우물이 아홉 개가 있었죠. 그래서 ‘구우물’이라고 불렀어요. 실제 내가 중학교 다닐 때까지도 크고 작은 우물이 여러 곳에 있었는데 이 중에 가장 큰 ‘아범물’에서 동네 사람들이 빨래를 하곤 했어요. 그런데 어른들한테 전해 들었던 우물의 의미가 구름으로 비유돼 ‘구름우물’이라고도 했죠. 그 바람에 경의선 운정역이 구름 ‘운’에 우물 ‘정’으로 씌어졌다고 해요.” ‘아홉 우물’ 소년 손배찬은 서울로 유학을 가 동국대학원에서 행정학을 전공했다. 그리고 고향 파주에 뿌리를 내리고 파주시의회 의장과 파주시청소년재단 대표이사를 역임하는 등 파주 구석구석을 발로 뛰며 시민의 목소리를 들었다. 그가 신조로 삼아온 현장에서 답을 찾는 생활정치를 실현하려고 했다. 그는 회고록을 펴내게 된 동기를 “우리 사회는 내란이라는 위기를 민주주의로 이겨냈고, 국민이 주인인 나라임을 증명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말한 진짜 대한민국의 정신은 다름을 존중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