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정치일반

조병국 “내년 총선 앞둔 정치성 보도 아닌가?”



자유한국당 조병국 경기도 전략기획위원장이 파주바른신문의 보수 정치인의 북한군 추모 헌화는 괜찮은가?’라는 18일자 보도에 대해 불만을 표시했다.

 

 조 위원장은 취재진에게 전화를 걸어 “20121226일 한 단체의 초청으로 적군묘지에 간 사실이 있다. 그러나 추모제를 한 것이 아니라 묵념과 헌화를 한 것이다. 그리고 북한군 묘역이 아니라 중국군 묘역에서 헌화를 했는데 무슨 근거로 북한군에게 묵념과 헌화를 했다고 보도하는 것인가? 내년 총선을 앞둔 정치성 의도가 있는 것으로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조병국 위원장의 지지자 오 아무개 씨도 전화와 글을 통해 “2012년 그 당시는 중국군이 묻혀 있던 곳으로 박근혜 대통령 때 중국으로 모두 송환하여 지금은 북한군, 그것도 김신조 등 무장공비들만 남아 있다.”라며 조 위원장이 묵념과 헌화를 한 장소는 중국군 묘역이었음을 강조했다.

 

 그러나 이 같은 주장은 사실이 아니다.

현재 북한군·중국군 묘역은 제1묘역과 제2묘역으로 나뉘어 있다. 1묘역에는 무장공비를 비롯 남파 간첩 등의 유해가 안장돼 있고, 2묘역에는 북한군과 중국군 유해가 묻혀 있었던 것을 201212월 국방부가 비목과 봉분으로 된 무덤을 평분 석묘로 재단장했다.

 

 국방부의 적군묘지 정화사업으로 제2묘역은 총 389기의 석묘로 재단장됐고 이중 중국군 유해는 89기였다. 이후 2013년부터 20195월까지 석묘 10기가 늘어나 현재 총 399기의 석묘가 있으며, 중국군 유해는 2014328일 본국으로 송환돼 빈 석묘 89기만 남아 있다.

 

따라서 조병국 위원장은 석묘로 재단장 되었을 때인 20121226북중군묘지평화포럼의 초청을 받아 제2묘역에서 묵념과 헌화를 했음에도 중국군 묘역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당시 북중군묘지평화포럼사회자는 조병국 위원장을 중요한 분이 한 분 오셨다. 요새 나하고 아주 절친하게 지내는 내 친구가 파주에 와서 동갑내기 조병국을 만났다. 사실 여기 모인 우리는 모두 타향이지만 조병국은 여기가 고향이다.”라고 소개했다.

 

파주바른신문은 조병국 위원장이 박정 국회의원의 인민군 추모제와 나의 북한군 헌화는 본질적으로 다른 것이다.”라고 주장한 것과 중국군의 추모는 괜찮고 북한군은 절대 안 되는 이유에 대해 집중취재 보도할 예정이다.


오늘의영상





최창호 의원 “해외입양인에 대한 대통령의 사과에 울컥” “이재명 대통령이 그동안 고통받은 해외입양인에 대해 대한민국을 대표해 사과한다는 그 말에 마음이 울컥했습니다. 지난해 10월 자치단체의 비협조를 감수하며 어렵게 제정한 ‘파주시 해외입양인 단체 지원 및 협력에 관한 조례’가 떠올랐기 때문입니다.” 기초자치단체로는 전국 최초로 해외입양인 지원 조례를 이끌어낸 파주시의회 최창호 의원이 해외입양인에 대한 대통령의 사과와 관련 주목받고 있다. 최 의원은 이 조례를 발의하기 위해 지난해 4월 미국행 비행기에 올랐다. 시카고의 노스웨스턴대학이 주최한 ‘해외입양인 70년 컨퍼런스’에 참가하기 위해서였다. 최 의원은 입양인 300여 명이 모인 컨퍼런스에서 “엄마품동산이 20여만 명 입양인들의 고향이 될 수 있도록 파주시의회가 노력하고 있다. 이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하는 ‘파주시 해외입양인 지원 조례’ 제정을 위해 다양한 의견을 들으려고 이 자리에 참가하게 됐다.”라고 밝혔다. 컨퍼런스를 마치고 돌아온 최창호 의원은 이익선, 이진아, 이혜정 의원과 함께 ‘파주시 해외입양인 단체 지원 및 협력에 관한 조례’를 대표 발의했다. 조례는 한국전쟁과 함께 파주 곳곳에 미군 기지촌이 형성되면서 달러벌이에 나선 기지촌 여성들과 미군 사이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