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0.8℃
  • 맑음강릉 4.2℃
  • 맑음서울 1.1℃
  • 구름조금대전 3.5℃
  • 맑음대구 3.5℃
  • 맑음울산 3.9℃
  • 흐림광주 4.9℃
  • 맑음부산 6.4℃
  • 흐림고창 3.4℃
  • 흐림제주 10.8℃
  • 맑음강화 2.1℃
  • 맑음보은 2.3℃
  • 구름많음금산 3.3℃
  • 구름많음강진군 5.9℃
  • 맑음경주시 3.9℃
  • 맑음거제 6.6℃
기상청 제공

지역소식

파주시·LH공사, 법원 행복주택 업무협약

법원리 431-49번지 공용주차장 부지 9,302㎡에 250세대 규모


파주시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공사)는 11월 30일 파주시청 비즈니스룸에서 “파주법원 행복주택 조성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법원 행복주택은 법원리 431-49번지 일대 공용주차장 부지 9,302㎡에 250세대 규모로 조성될 예정이다.
파주시와 LH공사는 공동사업 시행자로서 파주시는 토지를 제공하고 기반시설의 설치 등 행정 사항을 지원하며, LH공사는 공동주택 건설과 임대, 운영·관리에 수반되는 비용을 부담하며 행복주택 추진을 위해 상호간 노력하기로 했다.
법원 행복주택은 파주시가 2년에 걸친 노력 끝에 얻어낸 결실이다. 市는 입주수요 파악을 위해 파주시 330여개 기업 산단근로자를 대상으로 입주희망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수차례 국토부를 방문하여 지역 현황과 사업의 필요성을 적극 설명하고 설득한 끝에 올해 4월 22일 공모사업에 선정됐다.


법원 행복주택은 현재 건축설계 중에 있으며, 주거동 2동을 남향 배치해 250세대로 계획했다. 주민공동시설과 편의시설, 관리사무소를 배치하여 입주민과 지역주민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복합형 행복주택으로 2017년 사업계획승인 및 착공하여 2019년 완공예정이다.
행복주택이 건립되면 법원 산업단지 근로자를 포함한 주변에 산재한 공장과 기업 근로자, 신혼부부, 대학생, 사회초년생 등 젊은층이 입주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들은 주요 소비계층으로 쾌적한 주거복지 혜택은 물론 그간 침체된 지역경기에 큰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행복주택 부지와 인접한 곳에 70만㎡ 규모의 법원 제1,2산업단지가 조성중이고 2018년 국지도 56번 도로가 완공·개통되고 2020년 수도권 제2순환고속도로도 개통 예정되어 있어 행복주택 입주시기에 맞춰 법원읍 지역 발전을 이끌어갈 여러 사업들이 시의 적절하게 맞물려 완성될 예정이다.
이재홍 시장은 “행복주택 인근지역에 여러 산업단지가 조성돼 있고, LG디스플레이 OLED P10 파주사업장이 증설되면 다수의 근로자들이 파주로 이주하게 될 것”이라며, “그동안 인구가 정체되고 지역발전에 상대적으로 소외되었던 법원 지역이 행복주택 건설로 젊은 인구가 증가하면서 지역 균형발전은 물론 법원 소도읍 지역 활성화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오늘의영상





손배찬 전 파주시의회 의장 ‘흔들리지 않는 길’ 회고록 출간 손배찬 전 파주시의회 의장이 고향 파주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의 이야기를 담은 회고록 ‘흔들리지 않는 길’을 출간했다. 1962년 야당3리의 옛 지명인 ‘아홉 우물’에서 나고 자란 손배찬은 ‘아홉 우물’의 유래를 이렇게 전했다. “마을에 우물이 아홉 개가 있었죠. 그래서 ‘구우물’이라고 불렀어요. 실제 내가 중학교 다닐 때까지도 크고 작은 우물이 여러 곳에 있었는데 이 중에 가장 큰 ‘아범물’에서 동네 사람들이 빨래를 하곤 했어요. 그런데 어른들한테 전해 들었던 우물의 의미가 구름으로 비유돼 ‘구름우물’이라고도 했죠. 그 바람에 경의선 운정역이 구름 ‘운’에 우물 ‘정’으로 씌어졌다고 해요.” ‘아홉 우물’ 소년 손배찬은 서울로 유학을 가 동국대학원에서 행정학을 전공했다. 그리고 고향 파주에 뿌리를 내리고 파주시의회 의장과 파주시청소년재단 대표이사를 역임하는 등 파주 구석구석을 발로 뛰며 시민의 목소리를 들었다. 그가 신조로 삼아온 현장에서 답을 찾는 생활정치를 실현하려고 했다. 그는 회고록을 펴내게 된 동기를 “우리 사회는 내란이라는 위기를 민주주의로 이겨냈고, 국민이 주인인 나라임을 증명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말한 진짜 대한민국의 정신은 다름을 존중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