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사회

민주시민교육센터 복무점검 반발... “정당한 업무수행”


파주시민주시민교육센터에 대한 파주시의 복무점검에서 박병수 센터장이 지나친 간섭이자 표적감사라며 센터 담당 직원에게 항의하는 등 고성이 오갔던 것으로 알려졌다.


 파주시 평생학습과 여성 공무원 유 아무개 팀장과 박 아무개 주무관은 10월 13일 파주스타디움 안에 있는 ‘파주시민주시민교육센터’에 대한 현장 점검에 나섰다. 그리고 ‘파주자치아카데미(주민자치교육) 비대면 강의(동영상 제작)’를 위한 회계처리와 동영상 제작의 비교 견적, 스튜디오 계약 등에 있어서 파주시의 지시를 따르지 않은 채 동영상 제작을 진행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고 박병수 센터장에게 시정을 요구했다.


 이때 박병수 센터장이 “파주시가 사업 추진에 대해 지나치게 간섭하고 자료 제출을 요구하고 있다.”라며 언성을 높여 항의해 유 팀장이 위·수탁계약서 제14조(지도점검)에 근거한 정당한 업무수행임을 알렸다. 그러나 박 센터장은 “표적 감사가 아니냐?”며 강하게 불만을 토로해 장시간 언쟁이 있었다. 이러한 상황은 ‘출장복명서’에 드러나 있다.


 당시 상황에 대해 박병수 센터장은 “표적 감사라는 말은 안 했지만 비슷한 말은 했다. 사무실 거의 모든 자료를 가져가고 몇 달을 돌려받지 못한 상황에서 복무점검을 나와 볼멘소리가 나올 상황이었다. 사무지침도 낸 지가 언제인데 아직도 승인하지 않고 아무튼 갈 길이 멀다. 궁극적으로 시민단체 지원금은 지원은 하되 간섭은 하지 않는 것이 지향해야 할 문제다.”라고 주장했다.


 박 주무관은 “저는 센터장님이 무섭습니다. 전화가 걸려오면 공포감을 느낄 정도입니다. 센터장님은 우리가 무슨 말을 해도 잘 믿지 않고 어떤 민원을 확인하려면 먼저 화를 내거나 위압적인 말투로 사람을 억압합니다. 그럴 때마다 제가 할 수 있는 것은 감정노동뿐이라는 생각을 할 때가....”라며 눈시울을 붉혔다.


 이에 대해 박 센터장은 “언어폭력은 없었고 업무 문제로 서로 고성이 오간 적은 있었다.”라고 말했다. 


 유 아무개 팀장은 “박 주무관이 지난번 센터 복무점검을 마치고 사무실로 복귀해 빈 강의실에 들어가 울었던 적이 있습니다. 주무관이 자료 하나 요구하기 어려울 정도로 민주시민교육센터 업무에 위압감을 느꼈던 것 같습니다. 주무관이 휴직을 생각하는 모양인데 팀장으로서 정말 안타까운 생각이 듭니다.”라고 말했다.


오늘의영상





최창호 의원 “해외입양인에 대한 대통령의 사과에 울컥” “이재명 대통령이 그동안 고통받은 해외입양인에 대해 대한민국을 대표해 사과한다는 그 말에 마음이 울컥했습니다. 지난해 10월 자치단체의 비협조를 감수하며 어렵게 제정한 ‘파주시 해외입양인 단체 지원 및 협력에 관한 조례’가 떠올랐기 때문입니다.” 기초자치단체로는 전국 최초로 해외입양인 지원 조례를 이끌어낸 파주시의회 최창호 의원이 해외입양인에 대한 대통령의 사과와 관련 주목받고 있다. 최 의원은 이 조례를 발의하기 위해 지난해 4월 미국행 비행기에 올랐다. 시카고의 노스웨스턴대학이 주최한 ‘해외입양인 70년 컨퍼런스’에 참가하기 위해서였다. 최 의원은 입양인 300여 명이 모인 컨퍼런스에서 “엄마품동산이 20여만 명 입양인들의 고향이 될 수 있도록 파주시의회가 노력하고 있다. 이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하는 ‘파주시 해외입양인 지원 조례’ 제정을 위해 다양한 의견을 들으려고 이 자리에 참가하게 됐다.”라고 밝혔다. 컨퍼런스를 마치고 돌아온 최창호 의원은 이익선, 이진아, 이혜정 의원과 함께 ‘파주시 해외입양인 단체 지원 및 협력에 관한 조례’를 대표 발의했다. 조례는 한국전쟁과 함께 파주 곳곳에 미군 기지촌이 형성되면서 달러벌이에 나선 기지촌 여성들과 미군 사이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