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의학상식

좋은 의사란?

드라마나 영화에 의사가 참 많이 나온다. 미국 드라마로는 ‘ER’, ‘닥터 하우스’, ‘그레이 아나토미’ 등이 있고 우리나라 드라마로는 ‘하얀거탑’, ‘종합병원’, ‘뉴하트’, 최근에 ‘뷰티플 마인드’, ‘닥터스’까지 거의 매년 한 편 이상은 나온다. 의사가 주인공이 아니더라도 직업이 의사로 설정된 캐릭터는 꼭 한 명 끼게 마련이다. 의사가 의학 드라마를 집중하고 보기란 어렵다. 특히 우리나라 드라마의 경우에는 나름 신경써서 고증을 했다고 하더라도 의학적으로 빈틈을 가지는 경우가 많다. 말도 안 되는 경우가 많다 보니 감정을 이입해서 봐야할 장면에서 맥이 탁 풀려 재미가 없어지는 경우가 많다. 그러다 보니 아예 허무맹랑하게 진행되는 ‘닥터 이방인’이나 ‘용팔이’ 같은 드라마가 편하게 느껴진다. 하지만 너무 전형적이고 현실감 없는 의사의 모습에서 실망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 드라마이다 보니 의사들이 다 잘생기고 예쁜 것은 어쩔 수 없다고 치자. 인턴이나 레지던트일 것 같은 의사들이 종횡무진 활약을 하고 다니는 경우도 많고, 실제로는 잠잘 시간도 없는 경우가 많은데 다들 연애나 가정사에 쫒아다닐 시간이 많다는 것이다. 레지던트 시절 가족 모임에 제대로 나가본 적이 거의 없다. 거의 매일 당직을 서다 보면 시간을 맞추기가 어렵다. 드라마에서는 좋은 의사와 나쁜 의사로 양분돼 나오는 경우가 많다. 특히 한국 드라마의 경우에는 거의 그런 것 같다. 그렇다면 현실에서는 어떠할까? 어떤 의사가 환자에게 좋은 의사일까? 만약 다음과 같은 4명의 의사만 있다면 어떤 의사를 선택할까? 첫째, 실력도 좋고 친절한 의사, 둘째, 실력은 없지만 친절한 의사, 셋째, 실력은 좋지만 친절하지 않은 의사, 넷째, 실력도 없고 친절하지도 않은 의사 이 4명의 의사 중 당연히 첫번째 의사가 제일 좋은 의사일 것이다. 하지만 당연히 그런 의사는 적을 것이니 제외하고, 네번째 의사는 말할 것도 없이 제외한다면 두번째, 세 번째 의사 중에 당신이라면 누구를 선택하겠는가? 실력도 좋고 친절한 의사가 없다는 이야기는 아니다. 의사를 찾는 이유에 따라 좋은 의사는 달라질 것이다. 사실 제일 좋은 의사는 옆에 있는 의사이다. 궁금한 게 있을 때 옆집 아저씨가 아니라 나를 잘 아는 의사에게 물어보면 얼마나 좋겠는가? 큰 병이나, 수술을 해야 하거나, 고가의 장비로 검사나 시술을 하는 거야 대형종합병원에서 하는 것이 좋겠지만, 우리가 평상시에 고민하는 자잘한 증상이나 질병은 어디가서 물어볼 곳이 없다. 그럴 때 쉽게 물어볼 의사가 좋은 의사 아니겠는가. 대학 병원에서 검사를 잔뜩하고는 교수님에게 물어볼 엄두도 못 내고는 주섬주섬 검사 결과를 들고 와서 물어보는 환자들이 많다. 사실 만성질환의 대부분은 지역 개인의원에서 관리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대학병원 교수들도 그걸 알지만 수익에 대한 압력으로 인해 6개월에서 1년씩 약을 처방해 주면서 환자를 붙잡고 있다. 그러다 보니 고혈압, 당뇨 등의 만성질환도 대형병원으로 쏠림 현상이 심하다. 사실 동네 개인 의원이 해야 할 역할이 이런 것이라고 생각한다. 지역 주민들이 건강에 대한 상담을 하고 건강 활동을 할 수 있는 거점이 되는 것이다. 만성질환을 관리하다 대형 병원에서 검사를 해야 하는 시기에 권유를 해주고,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문제점을 일찍 진단하고 치료할 수 있게 도와주는 것이다. 미래에는, 치료에서 한발짝 더 나아가, 개개인의 취약한 부분들을 유전자 검사 등을 통해 알아내고, 그 취약점을 보완할 수 있는 건강 활동이나 약물들을 미리 처방하는 의학이 자리잡게 될 것이다. 그 전에 개개인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고 관리할 수 있는 지역 거점으로서 개인의원이 자리 잡아야 한다.

오늘의영상





성노동자 기자회견 “성매매집결지 예산 삭감하라.” 대추벌 성노동자모임 ‘자작나무회’와 ‘성노동자해방행동 주홍빛연대 차차’ 등 여성단체 활동가 40여 명은 9일 오전 파주시의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파주시의 성매매집결지 예산 68억은 성매매 건축주의 배만 불리는 것’이라며 규탄했다. 자작나무회 대표 별이 씨는 성매매집결지 건축주의 배만 불리는 파주시의 정책을 비판하며 성노동자와의 대화를 촉구했다. “성매매업소 건물주들은 업주들에게 오랜 기간 높은 임대료를 받아 챙겼습니다. 이에 더해 파주시는 성매매집결지 폐쇄라는 김경일 시장의 정치적 성과를 만들어내기 위해 공시가격보다 훨씬 비싼 값으로 건물과 토지를 사들이고 있습니다. 그런데 그 건물 안에서 살아온 세입자와 성노동자들은 이주보상대책 하나 없이 내쫓기고 있는 실정입니다. 김경일 시장에게 묻고 싶습니다. 이번에 편성된 68억 원까지 더하면 건물 매입 비용만 100억 원이 넘습니다. 이렇게 많은 예산을 투입한 결과 대추벌이 폐쇄됐습니까? 시민의 혈세가 끝도 없이 사용되고 있지만 대추벌은 여전히 존재합니다. 그 이유가 무엇입니까? 성노동자들에 대한 현실적인 이주대책이 단 한차례도 마련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저희 자작나무회는 분명히 말합니다. 성노동자들과 대화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