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지역소식

“당신은 이곳에 있을 자격이 있습니다.”

“‘엄마품동산’은 단지 지도의 한 지점이 아닙니다. 이곳은 기억과 의미가 만나는 장소이며, 역사가 숨 쉬고 정체성이 살아 있는 공간입니다. 많은 분들의 이야기가 이 근처에서 시작되었고, 그 여정은 멀리까지 이어졌습니다. 그리고 오늘, 그 여정이 우리를 다시 이곳으로 데려왔습니다. 이 공원은 해외로 입양된 20만 명이 넘는 한국 아이들과, 그 삶이 영원히 바뀐 양쪽 가족, 친가족과 입양가족을 기리는 공간입니다. 이곳은 우리 중 많은 이들이 가슴에 담고 살아온 침묵에 목소리를 부여하는 곳입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소중한 무언가를 제공합니다. 바로 ‘공간’입니다. 추억할 공간, 슬퍼할 공간, 치유할 공간 말입니다.”




 한국계 첫 미 육군 장성 출신 스티븐 커다(최갑산) 교수가 14일 ‘2025 한국입양인 평화대축제’가 개막된 조리읍의 반환 미군부대 캠프하우즈에 조성된 ‘엄마품동산’에서 입양인 대표로 인사말을 했다. 스티븐 커다 교수는 1960년 전북 이리(익산)에서 태어나 10살 때 미국으로 입양돼 1980년대 캠프하우즈 등 주한미군 제2사단에서 장교로 근무했다. 그는 2018년 퇴역 후 미국 일리노이주 보훈처장에 임명됐고, 플로리다 주립대에서 교수로 재직했으며 현재는 미국 국립 루이스대 교육공학 교수이다.




 커다 교수는 인사말에서 “우리는 이곳(엄마품동산)의 단순한 방문객이 아닙니다. 우리는 한국이라는 살아있는 이야기의 한 부분입니다. 엄마품동산은 그 사실을 증명하는 장소입니다. 이곳이 질문을 던질 수 있는 곳이 되기를, 감정을 있는 그대로 존중받을 수 있는 곳이 되기를, 그리고 서로가 연결될 수 있는 따뜻한 공간이 되기를 바랍니다. 왜냐하면 이런 장소는 단지 우리가 어디서 왔는지를 떠올리게 할 뿐만 아니라 우리가 누구인지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기 때문입니다.”라며 한국 정부와 파주시에 ‘엄마품동산’의 존재 이유를 호소했다.




 그러면서 “누군가에게 이곳은 잃어버린 것을 애도하는 장소일 것이고, 누군가에게는 되찾은 것을 축하하는 공간일 것입니다. 하지만 우리 모두에게 이곳은 ‘보이는 존재’로서, 인정받는 존재로서, 그리고 ‘기억되는 존재’로서 서 있을 수 있는 공간입니다. 입양인 여러분, 이번이 한국을 처음 방문한 경우든, 여러 번 방문한 경우든, 이 뿌리와의 연결이 강하게 느껴지든 아직 익숙하지 않든, 입양의 이야기에 평화를 찾았든, 여전히 그 안에서 싸우고 있든, 당신은 이곳에 있을 자격이 있습니다. 당신의 이야기는 소중합니다. 그리고 오늘 이 자리에 함께 그 자체가 큰 의미를 지닙니다.”라며 입양인은 ‘엄마품동산’의 단순한 방문객이 아니라 한국이라는 살아있는 이야기의 한 부분이라고 역설했다. 


 현재 ‘엄마품동산’ 기억의 벽에는 입양인 700여 명의 이름표가 걸려 있고, 평화뮤지엄에는 입양 당시 모습이 담긴 900명의 사진과 이름, 사연 등이 전시돼 있다. 입양인들은 이 기록물을 통해 친가족과의 만남이 이루어지길 희망하고 있으나 파주시는 행사가 끝나는 대로 전시물을 철거한다는 입장이다.






오늘의영상





“파주시의회, 장애인 통행로 가로막아도 모른척” 파주시의회가 장애인 이동권 보장을 위해 시의회 청사에 설치한 경사로 관리를 제대로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또한 파주시청 공무원들이 에너지 절약과 미세 먼지 저감, 교통 혼잡 완화를 위해 실시하고 있는 차량5부제를 피해 시의회 주차장 등 장애인 경사로 입구에 주차하고 있어 ‘장애인 노인 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편의증진법)과 도로교통법 제32조에 따라 과태료 부과 등 철저한 단속이 요구되고 있다. 21일 아침 파주시청 문화예술과 소속 두 팀장이 파주시의회 청사에 설치된 장애인 휠체어 경사로(통행로) 입구에 주차했다. 곧이어 시의회 직원들이 시청 공무원에게 연락해 출입로가 막히지 않게 옆으로 이동해달라고 요청했다. 그러나 여전히 휠체어가 지나가기는 어려운 상태다. 이날은 차량5부제 끝자리 번호가 2번과 7번이다. 두 팀장의 차량이 모두 해당된다. 편의증진법 제8조 편의시설의 설치 의무는 ‘공공기관, 공공시설, 다중이용시설의 건축주나 관리주체는 장애인 등이 이용하기 위한 편의시설(경사로, 출입구 접근로)을 설치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설치된 경사로 등 편의시설 앞에 주차를 해 휠체어 이동을 방해할 경우 ‘도로교통법 제32조(주차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