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영상에세이

임우영의 “민주항쟁 주역을 위한 노래”


민주항쟁을 기록한 현장사진연구소 이용남 사진가의 카메라에 경찰의 최루탄을 묵묵히 이겨내는 시민들의 모습이 잡힌다. 미친개 날뛰듯하는 지랄탄과 바람을 가르며 떨어져 꽃으로 산화하는 화염병을 민주주의의 과정으로 받아들이던 그 거리의 사람들이 바로 민주항쟁의 주역이었다.


 최루탄이 터져 마치 안개 낀 듯 희뿌연 골목에서 한 가족이 콧물과 눈물로 범벅이 돼 괴로운 표정을 짓고 있다. 종로서적 셔터에 갇힌 여성과 버스, 지하철 대중교통의 아침저녁 풍경은 그야말로 눈물바다다. 비닐봉지를 뒤집어쓴 채 명동거리를 걷는 여성들과 노인들의 모습에서 민주주의가 얼마나 힘든 여정인가를 카메라 셔터는 놓치지 않았다.


 민주항쟁의 주역이었던 거리의 시민들에게 바치는 노래를 국회의원 보좌진을 거쳐 경기도의원과 파주시시설관리공단 이사장을 지낸 임우영 이사장이 불렀다. 임 전 이사장은 ‘광야에서’를 부르면 1980년대 민주화 물결을 타고 광화문, 명동, 종로 거리를 누볐던 유월의 그 기억이 떠오른다고 한다.
 
 임우영 전 이사장은 당시를 이렇게 회고했다.
1984년 군 제대와 함께 시작한 일이 야당 국회의원의 보좌진이었다. 당시 민한당에서 신민주당, 통일민주당으로 이어지는 야당의원의 보좌진 활동을 하였다. 1980년대 민주화운동의 물결을 타고 광화문 거리에서, 명동 거리에서, 종로 거리에서 최루탄 가스를 마시며 숱하게 경찰에 쫓기기도 했다. 이한열 열사의 추모제 때에는 수많은 민주시민들과 연대에서 시청으로 거리행진을 하며 민주화를 위한 투쟁의 대열에 힘을 보탰다. 지금도 그때만 생각하면 마음 깊숙한 곳에서 뭉클함과 뜨거운 기운이 느껴지곤 한다. 하지만 그때 수많은 희생으로 이룩한 민주화가 지금의 이런 모습이었다면 차라리 하지 말 것을 그랬다는 생각마저 드는 현실이 그저 가슴 아플 뿐이다. 그때를 생각하며 가끔 부르는 노래가 '광야에서'이다. 그 노래를 다시 한 번 불러본다.


오늘의영상





최창호 의원 “해외입양인에 대한 대통령의 사과에 울컥” “이재명 대통령이 그동안 고통받은 해외입양인에 대해 대한민국을 대표해 사과한다는 그 말에 마음이 울컥했습니다. 지난해 10월 자치단체의 비협조를 감수하며 어렵게 제정한 ‘파주시 해외입양인 단체 지원 및 협력에 관한 조례’가 떠올랐기 때문입니다.” 기초자치단체로는 전국 최초로 해외입양인 지원 조례를 이끌어낸 파주시의회 최창호 의원이 해외입양인에 대한 대통령의 사과와 관련 주목받고 있다. 최 의원은 이 조례를 발의하기 위해 지난해 4월 미국행 비행기에 올랐다. 시카고의 노스웨스턴대학이 주최한 ‘해외입양인 70년 컨퍼런스’에 참가하기 위해서였다. 최 의원은 입양인 300여 명이 모인 컨퍼런스에서 “엄마품동산이 20여만 명 입양인들의 고향이 될 수 있도록 파주시의회가 노력하고 있다. 이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하는 ‘파주시 해외입양인 지원 조례’ 제정을 위해 다양한 의견을 들으려고 이 자리에 참가하게 됐다.”라고 밝혔다. 컨퍼런스를 마치고 돌아온 최창호 의원은 이익선, 이진아, 이혜정 의원과 함께 ‘파주시 해외입양인 단체 지원 및 협력에 관한 조례’를 대표 발의했다. 조례는 한국전쟁과 함께 파주 곳곳에 미군 기지촌이 형성되면서 달러벌이에 나선 기지촌 여성들과 미군 사이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