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사회

대추벌 성노동자 연대단체 “김경일 시장 자격 없다.”

“김경일 시장님, 나는 연풍리 성노동자입니다. 파주시장은 이 영화제 축사를 할 자격이 없습니다.” 


 제17회 DMZ 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개막식이 지난 11일 임진각에서 열렸다. 그런데 영화제 조직부위원장인 김경일 파주시장의 축사와 장해랑 집행위원장의 다큐멘터리 소개가 끝날 무렵 관중석에 앉아 있던 한 젊은 여성이 큰소리로 파주시장을 비판했다. 사회자는 “하실 말씀이 있는 분은 영화제가 끝나고 해주시면 감사하겠다.”라며 여성을 진정시켰다. 




 이날 젊은 여성은 자신을 연풍리 성노동자라고 했다. 그러나 취재 결과 대추벌 성노동자모임 자작나무회와 연대하고 있는 문화예술단체 회원인 것으로 파악됐다. 이들은 왜 다큐멘터리영화제에서 김경일 시장을 비판한 것일까? 영화제에 참가한 한 문화예술인은 “이들은 ‘우리가 살고 싶은 하루’라는 영화제 슬로건이 불평등, 차별, 혐오 없는 세상을 다루고 있는 것에 반해 김경일 파주시장의 강압적 성매매집결지 폐쇄 정책이 영화제 축사와 전혀 어울리지 않는다는 판단을 한 것 같다.”라고 분석했다.




 김경일 시장의 개막식 축사에 앞서 영화제 사회를 맡은 배우 김중기 씨는 “이 자리에 계신 우리 모두는 이 순간 세상의 모든 경계선을 돌파하고 실천하는 인간이자 바람처럼 모든 장애를 넘나드는 자유로운 영혼이 되었다. DMZ는 불평등과 차별, 혐오를 낳는 모든 선들을 상징한다. 하지만 세상은 여전히 눈물과 아픔으로 가득하고 여기저기 암울한 곳이 많다. 세상이 아무리 아프고 암울하더라도 우린 포기할 수 없다. 더 치열하게 꿈꾸고 연대하고 행동해야 한다. 그래서 제17회 다큐멘터리영화제 슬로건은 ‘우리가 살고 싶은 하루’이다.”라고 영화제를 소개했다. 




 장해랑 집행위원장은 김경일 시장의 축사가 끝난 후 “지금 이 순간에도 어딘가에서는 누군가가 죽어가고 있습니다. 불평등, 차별, 혐오 이런 부분에서 고통을 받고 있습니다. 그러나 오늘 그 현장 어딘가에서는 다큐멘터리 작가들이 지금도 바라보고, 응시하고, 발견하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저희는 그 치열한 정신이 이 세상을 바꿀 수 있는 힘이라고 믿고 있습니다. 그 분들의 통찰과 세상에 던지는 진실이 바로 세상을 바꿀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라며 차별과 불평등의 세상을 역설했다.


 김경일 파주시장은 축사에서 “파주는 누구보다 더 평화를 원했다. 영화제 슬로건인 ‘우리가 살고 싶은 하루’가 널리 퍼져 나가길 원한다.”라고 말했다.


 전국철거민연합회 소속 ‘연풍리철거민대책위’는 주민들을 모두 범죄자 취급하며 대화를 거부하고 있는 김경일 파주시장에게 항의하는 차원에서 김 시장이 참석하는 행사장은 모두 쫓아다니겠다는 계획이어서 상황에 따라 마찰이 예상된다. 








오늘의영상





“언니 그거 받고 노래방 일하면 안 걸려요.” “파주시 성매매피해자 자활지원금 믿을 수 있겠어요? 파주시장이 여길 없애겠다고 선포했을 당시부터 일했던 아가씨들이 받아야 하지 않나요? 10년, 20년 전에 있었던 아가씨들이 받는 건지, 아니면 여기서 근무를 하지 않은 아가씨들이 받고 있는 건지 알 수가 없잖아요. 그리고 파주시가 밝힌 자활신청자 19명의 실체도 솔직히 투명하지 않아요. 아가씨들이 여길 떠나도 어디서 어떻게 일하고 있는지 우리가 서로 공유하고 있거든요. 파주시가 자신 있으면 한번 공개해 보세요.” 대추벌 성매매집결지 성노동자모임 대표 ‘별이’ 씨가 22일 집결지를 찾은 경기도의회 의원들에게 한 말이다. 별이 씨는 또 “10년 전 여기서 일했던 종사자 한 분한테 연락이 왔어요. ‘언니 그거(자활지원금) 받고 다른 데 노래방 가서 일하면 안 걸려요. 언니도 지원금 받고 나와서 운정 오피스텔 뛰면 되는 거예요.’ 하더군요.”라며 지인의 전화 내용을 소개했다. 그러니까 파주시가 밝힌 자활신청자 수를 믿을 수 없다는 주장이다. 별이 씨는 ‘파주시가 현재 집결지에 남아 있는 종사자를 30명이라고 주장하는데 자작나무회가 조사한 숫자는 정확하게 66명’이라고 했다. 경기도의회 고준호 의원 등 인권위원회 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