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박태순의 시선

[박태순의 시선] 헛다리

특별한 정당에 관심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4.10 총선 후, 여당에서 수도권 패배에 대해 평가를 한답시고, 만들어진 이런저런 공간에서 오가는 말들을 간간이 들으면, 시민의 한 사람으로 한심하기도 하고, 안타깝기도 해서 몇 마디 적는다. 

 이 사람들 토론회를 보면서, 연상되는 것은 “여기가 다리야, 코야, 배야”를 더듬는 '장님 코끼리 만지기‘ 식이다. 현상에 대한 해석은 분분한데, 실체에 대한 인식은 없다. 실체에 대한 인식이 없으니, 말과 말을 연결하여 논리를 세울 수가 없다. 그냥 자기가 보고 들은 것은 말하고 있을 뿐이다. 원인 분석이 사람 수 만큼 많다. 

 이들은 아직 코끼리의 실체를 탐구한 적도 없고, 탐구할 의지도 없었다. 쉽게 말해, 이들에겐 21세기, 2024년을 살아가는 대중과 시민에 대한 종합적인 조망이 없다. 그들의 구성뿐 아니라, 그들을 움직이는 동력이 어떻게 발생하는지, 그리고 그들이 욕구를 어떻게 결집하고 배출하는지에 대한 동력학적 이해가 빠져 있다. 



 2008년처럼, 운이 좋아, 그들의 욕구가 바깥으로 분출하였을 때, 잔머리로 이를 낚아채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소위 세상의 절반인 '시민사회'에 대해 완전히 무지하다. 시민사회에 대한 인식이 없으니, 정치의 핵심적 요체인 정치(국가)와 시민 간의 관계에 대한 이해가 있을 수 없고, 시민사회의 요구가 무엇인지 구조적으로 잡아낼 수도 없다. 심지어 소식을 전할 창구조차도 없다. 

 상대 당이 대중들과 얽혀서 하는 일은 그냥 상스러운 '포퓰리즘'이고 '개딸' 현상일 뿐이다. 이런 괴(怪)-현상이 사회에서 어떻게 형성되는지에 대한 맥락 같은 건, 관심도 없고, 읽을 능력도 없다. 이런 점에서 가방끈은 길지 몰라도 사실 엘리트 축에도 끼기 어렵다. 

 한국이란 곳이 총물량과 영향력에서 시민사회 역량이 국가를 압도한 지 십수 년이 되어 감에도 불구하고, 그들에겐 여전히 시민사회는 다스림의 대상일 뿐이다. 여의도에 무슨 연구소를 차려놓고 한다는 일이 밑도 끝도 없는 '표계산'이다. 그러니 상호주관적 관계 맺기를 기대하는 것은 언감생심이다. 

 그러니, 대패하고도, 어떤 바보는 대중 속으로 더 들어가지 않아서라고 말하고, 또 어떤 바보는 대중이 썩어서 그렇다고 하고, 또 어떤 바보는 우리가 잘못해서 그렇다고 한다. 주관적 해석만 있고, 실체에 대한 객관적인 인식은 없다. 바닥이 얇고, 의지가 없고, 관계가 없으니, 머릿속 상상만 존재하는 것이다. 말그대로 장님이다.  

 여하튼 이 바보들의 말을 정리하면, "우리는 시민사회를 몰랐다, 그리고 알려 하지 않았다. 그리고 그들을 인식할 틀이 없다. 그러니 정치와 시민사회가 어떤 관계를 맺어야 할지에 대한 그림이 없었다." 정도가 될 것이다. 쓰리아웃을 당하고서야, 이들이 처음 운을 땐 말이, 우리가 뭘 몰랐지?' 정도다. 

 엘리트 사회에서는 내부 역학만 활용해도 권력을 차지할지 몰라도, 시민 중심 사회에서는 시민에 대한 이해와 관계 맺기에 대한 원칙과 기준이 없는 정당이 살아남을 일 없을 것이다. 

 노력은 가상하나, 딱하다!


한국공론포럼 박태순 상임대표는 1963년 충남 대전에서 태어나 대전고교 졸업, 서울대 분자생물학을 전공하고 서울대 대학원 환경계획학 석사. 서울대 대학원 이학박사 수료 후 국민고충처리위원회 자문위원, 사회통합위원회 위원, 지속가능발전위원회 전문위원, 대통령비서실 정책자문위원, 국회헌법개정특별위원회 자문위원을 역임했다.









오늘의영상





연풍리 주민들 김경일 불통시장 규탄 집회 파주읍 연풍리 주민들이 대추벌 성매매집결지 담벼락에 주민들과 아무런 협의 없이 요양원 등 공공개발을 추진하고 있는 파주시 정책을 비판하는 대자보를 내건 지 나흘만에 집회를 열어 김경일 시장과의 면담과 공청회 실시를 요구했다. 연풍지역활성화대책위원회(위원장 박동훈)와 연풍2리 노상규 이장 등 30여 명은 26일 대추벌 성매매집결지 안에 있는 파주시 전람회장에서 진행되는 ‘성교육을 말하다’ 행사에 김경일 시장이 참석한다는 소식에 집회를 열어 항의했다. 주민들은 집회에서 “김경일 시장이 성매매집결지 폐쇄 이후 이 지역을 어떻게 개발할 것인지 주민들의 의견은 전혀 듣지 않고 몰아붙이고 있다. 이는 김 시장이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자신의 정치적 업적을 내세우려는 것이라는 합리적 의심을 할 수밖에 없다.”라며 “공청회를 즉각 실시해 주민의 다양한 목소리를 들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경찰은 이날 집회장 주변에 경찰기동대를 집중 배치해 만약의 사태에 대비했다. 김경일 시장은 경찰의 삼엄한 경비속에 오전 10시 52분 행사장 출입문 앞에 바짝 붙인 관용차에서 내려 행사장으로 들어갔다. 주민들은 김 시장이 나올 때까지 집회를 이어가며 자리를 지켰고, 행사를 마친 김 시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