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사진이야기

[사진이야기] 백골단도 안 건드린 취재 카메라

사진은 지난해 말 기자생활 35년을 마감한 한겨레신문 김봉규 기자가 최근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린 것이다. 김봉규는 사진 설명을 이렇게 적었다. “갓 수습기자를 마친 뒤 시위 현장으로 나섰다. 1990년 10월 서울대 정문 앞에서 열린 학생들의 민주화와 통일 관련 집회였을 것이다. 한 학생이 사복경찰과 백골단에 강제로 연행되고 있다. 그 모습을 찍으려 하자 전투경찰이 방패로 가로막고 있는 장면이다.” 그러면서 “이 사진은 파주의 터줏대감 이용남 형이 찍은 사진이다.”라고 밝혔다.  




 나는 왜 백골단에 연행되는 학생의 리얼함을 놔두고 전투경찰이 진압용 방패로 김봉규 기자의 취재를 막는 모습을 찍었을까? 그때 기억을 돌이켜보면 대략 이렇다. 당시 김봉규는 백골단이 하나도 두렵지 않은 젖내 풋풋한 새내기였다. 시위 현장에 투입된 사복경찰들은 수습기자를 대번 알아차린다. 그리고 적당하게 취재를 방해한다. 진압 경찰과 취재진 사이에 몸싸움이 벌어지는 것은 일상이었다. 백골단한테 맞아 그럴듯한 사진 한컷 건지지도 못한 채 회사에 들어가면 ‘얻어맞고 왔다’며 다시 선배에게 발로 정강이를 차이는 그런 시절이었다. 




 나는 공권력의 언론탄압 현장을 카메라에 담을 욕심으로 전투경찰이 김봉규를 어떻게 제지하는지에 초점을 맞추고 기다렸다. 그러나 학생의 팔을 양옆으로 꺾은 백골단과 사복경찰이 내달리기 시작했다. 그러자 김봉규를 방패로 막고 있던 전투경찰도 김봉규를 풀어줬다. 1980년대 시위 현장에서 흔히 있었던 일이다. 그럼에도 백골단과 전투경찰은 취재진의 카메라에는 손을 대지 않았다. 카메라 훼손은 신문사가 절대 용납하지 않는다는 것을 잘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나 역시 민주화운동 취재를 하면서 공권력의 카메라 훼손 시도를 한번도 경험하지 않았다. 물론 백골단과의 몸싸움은 일상이었다. 그렇게 40년이 지난 2025년 8월 26일 대추벌 성매매집결지에 관용차를 타고 도착한 김경일 파주시장이 자신을 찍으려는 취재진의 카메라를 손으로 강하게 밀어낸 후 행사장으로 들어가는 일이 있었다. 




 파주시청 소통홍보관이 팔짱을 낀 채 취재진의 행사장 출입을 막았다. 안에 있는 사람들이 불편해한다는 이유를 들었다. 실랑이를 벌이고 있는 사이 지역신문 두 기자는 아무런 제지도 받지 않고 안으로 들어갔다. 나는 김경일 시장이 채용한 소통홍보관이 과거 어떤 일을 했는지 아는 바가 없다. 그냥 흘러다니는 얘기로는 기자 출신이라고 한다. 기자 생활을 한 사람이 취재 방해를 보란 듯 하고 있단 말인가? 엄혹한 독재정권하에서도 건들지 않았던 취재진 카메라를 밀어버리는 파주시장의 무도함은 어디서 나오는 것일까? 그리고 동료기자의 신변을 전투경찰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앵글을 맞췄던 그 시대 정신을 행사장 안의 두 기자에게는 어떻게 설명이 가능할까?  


 기자 생활 35년을 마감하며 1990년 10월 내가 찍은 서울대 앞 사진을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린 한겨레신문 김봉규 기자의 모습이 파주시장과 소통홍보관의 취재 방해와 맞물려 많은 생각을 하게 된 하루였다.  






오늘의영상





최창호 의원 “해외입양인에 대한 대통령의 사과에 울컥” “이재명 대통령이 그동안 고통받은 해외입양인에 대해 대한민국을 대표해 사과한다는 그 말에 마음이 울컥했습니다. 지난해 10월 자치단체의 비협조를 감수하며 어렵게 제정한 ‘파주시 해외입양인 단체 지원 및 협력에 관한 조례’가 떠올랐기 때문입니다.” 기초자치단체로는 전국 최초로 해외입양인 지원 조례를 이끌어낸 파주시의회 최창호 의원이 해외입양인에 대한 대통령의 사과와 관련 주목받고 있다. 최 의원은 이 조례를 발의하기 위해 지난해 4월 미국행 비행기에 올랐다. 시카고의 노스웨스턴대학이 주최한 ‘해외입양인 70년 컨퍼런스’에 참가하기 위해서였다. 최 의원은 입양인 300여 명이 모인 컨퍼런스에서 “엄마품동산이 20여만 명 입양인들의 고향이 될 수 있도록 파주시의회가 노력하고 있다. 이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하는 ‘파주시 해외입양인 지원 조례’ 제정을 위해 다양한 의견을 들으려고 이 자리에 참가하게 됐다.”라고 밝혔다. 컨퍼런스를 마치고 돌아온 최창호 의원은 이익선, 이진아, 이혜정 의원과 함께 ‘파주시 해외입양인 단체 지원 및 협력에 관한 조례’를 대표 발의했다. 조례는 한국전쟁과 함께 파주 곳곳에 미군 기지촌이 형성되면서 달러벌이에 나선 기지촌 여성들과 미군 사이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