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4.7℃
  • 맑음강릉 1.4℃
  • 맑음서울 -1.4℃
  • 맑음대전 1.0℃
  • 구름조금대구 1.1℃
  • 맑음울산 0.6℃
  • 흐림광주 4.4℃
  • 맑음부산 3.4℃
  • 흐림고창 3.3℃
  • 구름많음제주 9.9℃
  • 맑음강화 -2.9℃
  • 맑음보은 -2.4℃
  • 흐림금산 2.7℃
  • 흐림강진군 4.5℃
  • 맑음경주시 -2.1℃
  • 구름많음거제 3.3℃
기상청 제공

사진이야기

[사진이야기] ‘엄마품동산’ 돌망태에 걸린 편지

“사랑하는 Bora! 너는 혼자가 아니란다. 너에게는 엄마와 아빠가 있다. 정말 미안하고 사랑한다. 엄마와 아빠가…” 엄마품동산 돌망태에 걸려 있는 편지 내용이다. 



 조리읍의 반환 미군부대 캠프하우즈에 조성된 해외입양인의 고향 ‘엄마품동산’에 기억과 만남의 장소인 돌망태가 있다. 이곳에 미국의 비영리단체 미앤코리아가 지난 6월 엄마품동산에서 진행된 ‘2025 한국입양인 평화대축제’(공동위원장 윤후덕) 때 해외입양인과 친가족의 상봉을 기원하는 마음으로 700여 입양인 네임택을 전시했다. Bora의 네임택도 그 중 하나이다. 그런데 그 네임택 위에 Bora에게 보내는 편지가 덧붙여 걸렸다. 아마도 Bora의 부모님이 쓴 편지로 보인다. 이 짧은 편지와 네임택이 가슴을 뭉클하게 한다.



 Bora(Bora Anderson)의 한국 이름은 이은희이다. 1991년 서울에서 태어나 해외로 입양됐다. Bora가 친가족을 만나 교류하는지는 알 수 없다. 사실상 그런 정보가 있다고 해도 말할 수 없는 입양의 여러 사정 때문에 공개하기도 쉽지 않다. 그만큼 입양의 역사는 복잡하다. 

 그러나 이렇게 엄마품동산을 통해 만날 수 있다는 것은 매우 기쁜 일이다. 이것이 엄마품동산의 조성 취지이기도 하다. 기억과 만남의 공간인 돌망태에는 기존의 700여 칠보공예 네임택이 아닌, 플라스틱으로 만든 네임택 9개가 걸려 있다. 아마도 소문을 듣고 엄마품동산을 찾아와 직접 설치한 것으로 보인다. 



 최종환 전 파주시장은 돌망태에 엄마품동산 조성 취지를 이렇게 새겨넣었다. “사람이 희망입니다. 사람이 길입니다. 사람이 사람에게 가는 길, 엄마품동산은 그 길 위의 정거장입니다. 이곳은 20여만 명의 해외입양인이 돌아올 나라, 그들의 고향이 되어줄 공간, 끊어진 혈육의 애환을 달래 인간성을 회복할 수 있는 공간으로 개인의 아픔을 넘어 천륜을 새롭게 잇는 공간이 될 것입니다. 또한 물질만능, 인간성 상실의 시대에 사람이 중심인 사회를 소망하며, 한반도를 넘어 세계의 평화를 염원하며 그 뜻을 새깁니다.”
오늘 최종환 전 시장이 그립다.  






 
 

  


오늘의영상





손배찬 전 파주시의회 의장 ‘흔들리지 않는 길’ 회고록 출간 손배찬 전 파주시의회 의장이 고향 파주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의 이야기를 담은 회고록 ‘흔들리지 않는 길’을 출간했다. 1962년 야당3리의 옛 지명인 ‘아홉 우물’에서 나고 자란 손배찬은 ‘아홉 우물’의 유래를 이렇게 전했다. “마을에 우물이 아홉 개가 있었죠. 그래서 ‘구우물’이라고 불렀어요. 실제 내가 중학교 다닐 때까지도 크고 작은 우물이 여러 곳에 있었는데 이 중에 가장 큰 ‘아범물’에서 동네 사람들이 빨래를 하곤 했어요. 그런데 어른들한테 전해 들었던 우물의 의미가 구름으로 비유돼 ‘구름우물’이라고도 했죠. 그 바람에 경의선 운정역이 구름 ‘운’에 우물 ‘정’으로 씌어졌다고 해요.” ‘아홉 우물’ 소년 손배찬은 서울로 유학을 가 동국대학원에서 행정학을 전공했다. 그리고 고향 파주에 뿌리를 내리고 파주시의회 의장과 파주시청소년재단 대표이사를 역임하는 등 파주 구석구석을 발로 뛰며 시민의 목소리를 들었다. 그가 신조로 삼아온 현장에서 답을 찾는 생활정치를 실현하려고 했다. 그는 회고록을 펴내게 된 동기를 “우리 사회는 내란이라는 위기를 민주주의로 이겨냈고, 국민이 주인인 나라임을 증명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말한 진짜 대한민국의 정신은 다름을 존중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