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지역소식

“입양의 상흔 꽃으로 피어나다” 엄마품동산 벽화 제막식

11월 2일 오전 11시 해외입양인들의 고향 엄마품동산에서 벽화 ‘bLOSSom’ 제막식이 거행됐다. 엄마품동산은 2018년 파주시 조리읍 봉일천리 반환 미군부대 캠프하우즈에 조성됐다. 이날 행사에는 윤후덕 국회의원과 이상덕 재외동포청장, 최창호 파주시의원, 김진기 파주부시장, 김민철 재외동포청 교류협력국장, 이영근 재외동포협력센터 상근이사, 국민대 고성일 교수  등이 참석했다.
입양인 대표로는 임진강 건너 미군부대 내무반에서 어린시절을 보낸 혼혈입양인 에스텔 쿡 심프슨(74. 여성 퇴역장군)과 유지연 노스웨스턴대 역사학과 교수, 마크 크룩 미국 미시간대 의대 교수 비롯 50여 명이 함께했다.





 ‘어머니의 모습과 상실의 슬픔을 극복하고 꽃을 피운다’는 의미를 담은 초대형 벽화는 1953년 세워진 3미터 높이의 콘크리트 벽에 그려졌다. 10월 29일부터 벽화작업을 시작한 전혜주 작가는 1980년생으로, 4살 때 부산보육원에서 미국인 가족에게 입양됐다. 전 작가는 현재 입양인의 목소리를 내기 위해 ‘기원과 이중성’이라는 제목으로 미국에 입양된 한국인 입양인에 대한 작품 시리즈를 준비하고 있다.



 전혜주 작가는 자신의 작품을 이렇게 설명했다.
“꽃이 피어난다는 뜻의 ‘Blossom’에는 상실(loss)이라는 단어가 숨어 있습니다. 상실의 슬픔 속에 새롭게 싹틔울 씨앗이 숨어 있음을 일깨웁니다. 혹독한 겨울을 이겨내야 꽃이 피어나듯, 상실로 인한 빈자리에서 우리는 새로운 씨앗을 발견하고 강인한 꽃으로 피어납니다. 얼굴 없는 여인은 우리 마음속 친어머니의 모습입니다. 임신한 배를 감싸 안고 아직 태어나지 않은 아이의 삶을 생각합니다. 문화, 언어 유산, 정체성으로 직조됐던 치맛자락은 조각조각 흩어져 그녀 곁을 떠납니다. 그 조각들은 다시 무궁화가 됩니다. 한국인의 강인함을 상징하는 꽃 무궁화. 입양인들의 이야기는 뿔뿔이 흩어진 치마 조각처럼 종종 붙잡기 어려워 보일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엄마 품으로 돌아오기 위한 우리의 여정을 통해 상실 속에서 싹튼 씨앗은 온전하고 아름다운 꽃으로 피어납니다.”



 전 작가와 함께 작업한 이병숙 작가는 1984년생으로, 태어난 지 19개월에 미국 미시건주로 입양됐다. 워싱턴 대학에서 분자, 세포, 발달생물학을 전공한 이 작가는 자신과 다르게 생긴 사람들의 세계에 맞추려고 애쓰면서 자기 정체성에 관심을 갖게 됐다. 이 작가는 이번 벽화작업 참여에 대해 “벽화 프로젝트는 내 인생의 가장 큰 행복이다. 우리 입양인들을 위해 무엇인가 할 수 있다는 것이 꿈만 같다.”라고 말했다.





 이날 미앤코리아 김민영 대표는 재외동포청 이상덕 청장과 윤후덕 국회의원에게 가칭 ‘2025년 엄마품동산 대축제’를 제안했다. 이 축제는 2025년 6월13일~14일 이틀간 엄마품동산에서 입양인과 파주시민이 함께하는 음악회 형식이면 좋겠다고 했다. 이 청장은 윤후덕 국회의원과 상의해 재외동포청 차원의 프로그램을 만들어 보겠다고 약속했다. 

 파주바른신문은 10월 29일부터 진행된 벽화작업을 5회에 걸쳐 보도할 예정이다.




 




오늘의영상





손배찬 전 의장이 동해로 간 까닭은... 파주시의회 손배찬 전 의장은 29일 강원도 동해로 내달렸다. 동해로 떠나기 며칠 전 취재진에게 연락이 왔다. 독립운동가 장준하 선생 시비와 새긴돌이 강원도 어디에 있느냐는 물음이었다. 그러면서 평소 존경했던 분이어서 지난 17일 탄현면 통일동산에서 있었던 장준하 선생 50주기 추도식에도 다녀왔다며 파주 장곡리에 세워졌던 장준하 선생 시비와 새긴돌을 꼭 한 번 보고 싶다고 했다. 파주바른신문은 손 전 의장을 직접 안내하기로 했다. 손 전 의장은 광탄면 산골짜기에 있던 장준하 선생의 묘역이 2012년 파주시민의 뜻으로 탄현면 통일동산에 모셔진 사실을 기억하고 있었다. “통일동산으로 모셔올 때 ‘장준하 선생 추모공원추진위원회’가 있었더라고요. 그 당시 파주시의회 민주당, 국민의힘, 진보당 등 선배 의원님들이 소속 정당을 떠나 추진위원으로 이름을 올리신 걸 보고 정말 아름다운 동행이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손배찬 전 의장은 장준하 선생 추모공원이 조성되고 2년 뒤 제6대 파주시의회 의원이 됐다. 그리고 제7대 때는 의장에 당선됐다. 손 전 의장은 시의회 운영의 핵심 가치를 여야 협치로 삼았다. 5대 선배 의원들이 여야를 가리지 않고 장준하 선생 추모공원 조성에 나선